1 |
디지털 정보와 지식에 관하여
|
김학택
|
1~18
|
0
|
2 |
인공 지능에서 인공 지혜로의 모색
|
유용석
|
19~40
|
0
|
3 |
인공지능 윤리와 로봇 윤리, 차이와 연속성-모두의 윤리로서 인공지능 윤리를 향하여-
|
허유선
|
41~72
|
0
|
4 |
语言学在AI时代的核心研究对象是什么
|
左思民
|
73~92
|
0
|
5 |
이상異相과 천재성genialité -『대승기신론』과 『전체와 무한』의 대화-
|
김상록
|
93~126
|
0
|
6 |
제주 정체성과 근대성에 대한 철학의 문제들
|
김치완
|
127~152
|
0
|
7 |
박종홍의 「퇴계의 교육사상」(1928)에 대한 비판적 검토
|
박균섭
|
153~180
|
0
|
8 |
절대적 타자성과 책임에 대한 소고-데리다의 종교이해를 중심으로-
|
손영창
|
181~210
|
0
|
9 |
『맹자』 王道政治의 이념과 실현 방안
|
유영옥
|
211~238
|
0
|
10 |
연역, 귀납 그리고 의도
|
이진희
|
239~263
|
0
|
11 |
기업윤리 발전을 위한 정치철학 적용 가능성 연구
|
장운혁
|
264~297
|
0
|
12 |
방중의 철학과 몸에 관한 연구
|
정우진
|
298~316
|
0
|
13 |
롤스의 정의론이 생략한 인간의 탐욕과 사회적 갈등
|
최현실
|
317~346
|
0
|
14 |
증산의 평화사상과 상생윤리
|
김영주
|
347~369
|
0
|
15 |
팬데믹 시대, 비판적 시민성과 정치신학-윌리엄 캐버너의 담론을 중심으로-
|
손민석
|
370~403
|
0
|
16 |
중국불교의 금욕적 식법-『고승전』을 중심으로-
|
손진
|
404~429
|
0
|
17 |
자유주의의 위기
|
신중섭
|
430~457
|
0
|
18 |
교양기초 교과목의 특성별 분반 운영에 관한 연구-수도권 K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-
|
윤대선
|
458~483
|
0
|
19 |
『李衛公問對』에 담긴 人, 文, 戰 分類 特徵 및 그 必然的 結果
|
이정미
|
484~518
|
0
|
20 |
사람의 뜻(1) -약 백 년 동안 약자의 사례 속에서-
|
정세근
|
519~541
|
0
|
21 |
<기생충>에 수용된 ‘먹이’의 공유(共有) 관계에 대한 고찰
|
김남석
|
542~559
|
0
|
22 |
중국의 양생·음식문화 관련 색채어의 인지의미 구조 연구
|
김순진
|
560~579
|
0
|
23 |
한중 온감 형용사 ‘뜨겁다’와 ‘热’의 용법 대조 연구
|
문영희
|
580~603
|
0
|
24 |
현대시에 나타난 음식과 일상성-‘국수’를 중심으로-
|
배옥주
|
604~622
|
0
|
25 |
인지언어학 관점의 중국어 맛 표현 어휘의 의미 확장양상 분석
|
이명아
|
623~646
|
0
|
26 |
초급 중국어 학습자를 위한 에듀테인먼트 모바일 앱(APP) 콘텐츠 개발-어린이 중국어 교육을 중심으로-
|
이서이
|
647~660
|
0
|
27 |
페미니스트 관점으로 본 『주홍글자』 영한번역 양상
|
정선혜
|
661~682
|
0
|
28 |
1920년대 한·일 소설에 형상화된 결혼관 비교-다니자키(谷崎)의 『痴人の愛』와 염상섭의 『二心』을 중심으로-
|
제금숙
|
683~697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