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논문 : 한국 고대종교 연구의 방법론적 문제
|
윤이흠
|
1~21
|
1
|
2 |
논문 : 염제 홍정하의 서학비판론과 쟁점
|
금장태
|
23~57
|
1
|
3 |
논문 : 종교언어 (宗敎言語) 로서의 공안 (話頭)
|
윤원철
|
59~79
|
3
|
4 |
논문 : 쿠로다 세이키의 풍경화와 일본의 정신
|
최유경
|
81~108
|
2
|
5 |
논문 : 무의 치료와 저주
|
최종성
|
109~129
|
5
|
6 |
논문 : 한국과 독일의 ' 혼합주의 ' ( 싱크레티즘 )
|
남상희
|
131~154
|
1
|
7 |
논문 : 한국 고대 산신신앙에 나타난 이상인간형
|
강영경
|
155~214
|
4
|
8 |
논문 : 중국 유교의 이상 인간형 - 성인과 군자를 중심으로 -
|
박미라
|
215~239
|
6
|
9 |
논문 : 인도 및 동남아 불교의 이상인간
|
안양규
|
241~264
|
3
|
10 |
논문 : 한국 신종교의 이상적 인간성 - 조화의 이상과 관련하여 -
|
박규태
|
265~281
|
1
|
11 |
논문 : 도와 하나되는 삶 - 도교의 이상적 인간성 -
|
이용주
|
283~302
|
0
|
12 |
논문 : 기독교의 이상인간형 - 육체적 순교와 영적 순교의 개념을 중심으로 -
|
이진구
|
303~319
|
2
|
13 |
서평 : 카렌 암스트롱 저 , 배국원 외 역 『 신의 역사 』( 1 , 2 ) 신은 미래를 가지고 있는가
|
황필호
|
321~332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