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한국어교육에서의 연어 연구 동향 및 과제
|
김선영
|
1~30
|
0
|
2 |
구어 말뭉치에서의 담화 표지 ‘그런데’의 담화 기능 연구 -공적·사적 대화와 한국어 교재 대화문 분석을 중심으로-
|
김한근
|
31~52
|
0
|
3 |
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어두폐쇄음 산출과 지각 능력 간 상관관계 연구
|
박정은
|
53~81
|
0
|
4 |
유학생 대상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 -문법 항목을 중심으로 -
|
박지순
|
83~113
|
0
|
5 |
외국인 어투에 대한 한국인 여자 대학생의 언어 태도 연구
|
백승주
|
115~150
|
0
|
6 |
‘-어 봤자’ 구문에 대한 담화문법 연구 - 형태, 의미, 사용 맥락을 중심으로 -
|
성미향
|
151~182
|
0
|
7 |
한국어와 러시아어 자음 간 지각적 대응 관계 분석
|
심현주
|
183~204
|
0
|
8 |
중국 지역 한국어 학습자 언어 학습 신념 연구
|
안효연
|
205~234
|
0
|
9 |
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학위논문쓰기 교재모형 연구
|
윤창숙
|
235~259
|
0
|
10 |
한국어 읽기 텍스트 선정을 위한 텍스트 복잡성의 개념과 요인
|
이승찬
|
261~281
|
0
|
11 |
온라인 한국어 수업의 교수실재감 향상을 위한 항목 선정 연구
|
정은주
|
283~312
|
0
|
12 |
한국어교육 전공 외국인 대학원생의 학습경험과 직업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
|
정하라
|
313~345
|
0
|
13 |
초국가 시대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한국문화 교육 방안 - 다국가 이주 경험 한국 청소년(TCK) 대상으로 -
|
천수연
|
347~368
|
0
|
14 |
독일 한인이주여성의 초국적 정체성에 관한 생애사적 내러티브 연구
|
최승은
|
369~390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