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A Study on the Disaster Response Facility of Subway Station Considering the User's Space
|
김명화
|
11~24
|
0
|
2 |
체험마케팅을 적용한 전통식문화 팝업 매장 공간디자인 연구 : 감각요소 특성을 중심으로
|
이주윤
|
25~36
|
0
|
3 |
국내 기업의 공간을 활용한 브랜딩 활동 트렌드 분석 - 맥심플랜트, 아모레성수, BEAT360을 중심으로 –
|
박민희
|
37~48
|
0
|
4 |
도시 지하 유휴 시설 수직형 농장 적용에 관한 연구
|
배기태
|
49~60
|
0
|
5 |
도시재생 활성화 기반 수해 피해 저감 계획에 관한 연구 - 향림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-
|
백지원
|
61~72
|
0
|
6 |
하이퍼텍스트 구조의 비선형적 공간특성 연구 -SANAA의 작품을 중심으로-
|
손진배
|
73~86
|
0
|
7 |
여의도 시범아파트 단지의 도시적 경계공간 연구
|
신은기
|
87~98
|
0
|
8 |
사회적 건축의 로컬리티 공간 현상 연구
|
민경훈
|
99~108
|
0
|
9 |
대형 카페 공간의 번 슈미트 체험 마케팅 특성 연구
|
박종환
|
109~122
|
0
|
10 |
무인매장의 쇼핑 단계별 언택트 구매환경 및 IT 기술 적용 사례 연구
|
오정아
|
123~136
|
0
|
11 |
호흡기 감염병(코로나-19) 선별진료소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-서초구 언택트 선별진료소 조성을 중심으로-
|
권성은
|
137~150
|
0
|
12 |
소주박물관의 공간계획에서 나타나는 지역주의적 특성에 관한 연구
|
배종정
|
151~164
|
0
|
13 |
토레다비드를 통해 바라본 사회적 공간 생산요소의 특성 연구 -앙리르페브르의 공간론을 중심으로-
|
유혜승
|
165~174
|
0
|
14 |
영화공간의 장면과 서사의 상관성 -영화 “내 꿈은 컬러꿈”을 중심으로-
|
송영민
|
175~186
|
0
|
15 |
브랜드 경험요소를 적용한 패션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 공간특성연구
|
장윤정
|
187~198
|
0
|
16 |
고객경험을 위한 리테일테크 적용에 관한 연구 : 오프라인 패션 매장을 중심으로
|
권희현
|
199~212
|
0
|
17 |
군 BTL 정책이 적용된 병영생활관 사용자 설문 연구 - 구형 병영생활관과 신형 병영생활관 동시 사용자의 설문을 중심으로 -
|
이장규
|
213~222
|
0
|
18 |
증강현실 기반 건축문화유산 공간경험 활성화 방안 연구 - 해외 디지털 복원사례를 중심으로 -
|
천준호
|
223~236
|
0
|
19 |
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에 나타난 오브제 표현특성 분석 연구
|
김정아
|
237~248
|
0
|
20 |
소재의 적정가공을 통한 인테리어 텍스타일디자인 개발
|
허지혜
|
249~258
|
0
|
21 |
중국 북경과 상해의 공공공간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
|
우커스
|
259~274
|
0
|
22 |
표면특성으로서 투명성이 물체색 선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
|
황영지
|
275~284
|
0
|
23 |
무인매장 서비스스케이프의 속성이 고객 경험에 미치는 영향
|
이슬아
|
285~298
|
0
|
24 |
노마디즘 관점의 장소 상실과 생성을 통한 장소되기 잠재성 연구
|
이승나
|
299~312
|
0
|
25 |
대형병원 외래 진료 서비스스케이프 개선을 위한 서비스 공간 디자인 툴킷 제안 - A 대학병원 정형외과 외래 진료 공간 사례를 중심으로 -
|
신이원
|
313~324
|
0
|
26 |
VR 환경에서 몰입감 향상을 위한 디지털 휴먼 눈 구현의 특성 연구
|
윤개리
|
325~336
|
0
|
27 |
유진상가에 적용된 원도심 도시재생 프로젝트의 계획특성과 개선방안
|
최정우
|
337~350
|
0
|
28 |
유전알고리즘 기반 최적화 건축설계 툴, 갈라파고스의 기능적 특성 연구
|
이우형
|
351~360
|
0
|
29 |
뉴트로(New-tro) 디자인을 통한 도시재생 사례연구
|
송민진
|
361~374
|
0
|
30 |
인지감각을 고려한 시각장애인박물관 공간경험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
|
김이홍
|
375~386
|
0
|
31 |
화장품 플래그쉽 스토어 공간의 다감각 환경 특성에 관한 연구
|
최형욱
|
387~400
|
0
|
32 |
부산 지하철 휴게 공간 리디자인에 대한 연구 - 대연역 생태 공간 개발 중심으로 -
|
장무
|
401~408
|
0
|
33 |
복합상업공간의 이동행태에 따른 주시영역에 관한 연구 -아이트래킹 기법을 활용하여-
|
문보경
|
409~416
|
0
|
34 |
흡연자의 행태분석을 통한 흡연위치 및 흡연공간의 유형에 관한 연구
|
이근원
|
417~428
|
0
|
35 |
VR 콘텐츠의 공간 오디오 상호작용 사례 연구
|
황수민
|
429~440
|
0
|
36 |
VR콘텐츠의 재현적 공간 연출 사례 연구 - Google Spotlight Stories VR를 중심으로 -
|
김종민
|
441~450
|
0
|
37 |
지역중앙 지방기록물보존관의 공간구성체계 및 공간모형에 관한 연구 -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-
|
공순구
|
451~464
|
0
|
38 |
도시 폐산업유산 문화공간 재생에서 장소가치 활성화를 위한 연구
|
화화설
|
465~478
|
0
|
39 |
경기도 공공디자인 진흥계획 실행을 위한 전략구축 적용 연구
|
화화설
|
479~488
|
0
|
40 |
패션브랜드의 옴니 체험 공간을 위한 사례 연구 -디지털 전략을 중심으로-
|
양송이
|
489~498
|
0
|
41 |
1인 가구 주거공간의 코하우징 커뮤니케이션 특성 연구
|
유정
|
499~510
|
0
|
42 |
5가지 체험요소 기반의 오프라인매장 브랜딩 연구 -번 슈미트의 체험마케팅 특성을 중심으로-
|
하유진
|
511~524
|
0
|
43 |
근거기반디자인에 의한 간호공간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
|
양시내
|
525~538
|
0
|
44 |
어포던스 이론 기반 인터렉티브 VR 영화의 특성 및 요소 연구
|
백승범
|
539~548
|
0
|
45 |
소셜리빙 커뮤니티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
|
김상효
|
550~564
|
0
|
46 |
친환경 업무용건축물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특성 연구 -국내 인증건축물 사례를 중심으로-
|
정은희
|
565~572
|
0
|
47 |
COVID-19로 인한 F&B 공간변화에 관한 연구
|
노혜정
|
573~582
|
0
|
48 |
이용자 형태 중심 광역버스 환승정류장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
|
박영채
|
583~592
|
0
|
49 |
고유한 신체의 경험을 통한 애도 공간 특성 연구 -메를로 퐁티의 현상학을 중심으로-
|
원예진
|
593~604
|
0
|
50 |
유휴공간에서의 인지건강디자인 적용 사례 분석 연구
|
김경진
|
605~614
|
0
|
51 |
서천군 경관색채 가이드라인 설정에 관한 연구
|
임오연
|
615~622
|
0
|
52 |
B.I.G 건축에 나타난 프랙털 기하학의 표현 특성연구
|
김효원
|
623~634
|
0
|
53 |
동남아시아 리조트 호텔에 나타난 마스터 플랜의 공간 특성 연구
|
임혜경
|
635~644
|
0
|
54 |
소형단위공간을 위한 수납가구 모듈시스템 디자인연구
|
조남주
|
645~654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