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兒童期 주거환경의 情緖的 경험이 現 居住空間의 個人領域化에 미치는 影響
|
김원필
|
3~10
|
8
|
2 |
최근 초고층 아파트의 단위세대 평면계획특성에 관한 연구
|
신중진
|
11~22
|
19
|
3 |
건축물 접합부 설계 표준화 지침 작성에 관한 연구
|
황은경
|
23~32
|
2
|
4 |
中國朝鮮族龍興村의 마을구성에 관한 조사연구
|
김승제
|
33~40
|
3
|
5 |
住民意識調査를 통한 初等學校施設의 개방존 設定에 관한 硏究
|
김종재
|
41~48
|
3
|
6 |
第7次敎育課程에 따른 初?中等學校敎室運營變化에 관한 硏究
|
이화룡
|
49~56
|
3
|
7 |
경기북부지역 박물관 활성화를 위한 기초적 연구
|
김종국
|
57~64
|
3
|
8 |
현대화 시범 초등학교 설립유형별 건축적 특성 분석
|
정주성
|
65~72
|
3
|
9 |
건축사 행정처분 관계 법령조사 및 관련자 의식에 관한 연구
|
이중연
|
73~81
|
0
|
10 |
산 피에트로 광장의 변천과정과 도시적 의미에 관한 연구 -16세기 이후의 도시맥락을 중심으로-
|
전진영
|
83~90
|
4
|
11 |
기숙사 단위공간에서의 프라이버시 및 영역성 지각과 거주만족도
|
허진선
|
91~98
|
15
|
12 |
주거사회학적 요인에 영향을 받는 단위 주호의 공간구성 변화 -독일 집합주택 평면의 개방성과 폐쇄성의 변천을 중심으로-
|
전남일
|
99~110
|
2
|
13 |
도시형 유료노인복지시설의 모형개발 연구
|
서기영
|
111~120
|
14
|
14 |
건축공간관련 프로그램 분석에 의한 공간정보 분류방안 연구 -공동주택사례적용을 중심으로-
|
정낙현
|
121~130
|
2
|
15 |
움직임미술과 현대건축 외피 구축방식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-입방형 건축 체계내 비물질적 표현효과를 중심으로-
|
유진상
|
131~138
|
6
|
16 |
都心住居地區의 特性保存과 活用을 위한 步行者空間計劃에 관한 硏究 -全州市韓屋保存地區의 골목길을 中心으로-
|
殷民均
|
139~148
|
1
|
17 |
人工衛星映像을 이용한 釜山市開發制限區域의 再考에 관한 연구 (퍼지-AHP 및 셀룰라 오토마타를 適用하여)
|
윤정미
|
149~156
|
0
|
18 |
미국 도시미관 규제시책 변천과정에 관한 고찰
|
이정형
|
157~167
|
6
|
19 |
木材마루板의 輕量衝擊音遮音特性과 低減量에 관한 實驗的硏究
|
김선우
|
169~176
|
0
|
20 |
天井構造와 바닥磨勘材의 調合에 따른 輕量衝擊音遮音特性및 低減量에 관한 實驗的硏究
|
김선우
|
177~184
|
1
|
21 |
對流, 輻射, 濕氣輸送과 空調시스템 制御의 連成解析에 관한 硏究 ― PMV 一定條件에서의 室內空調負荷解析과 應用―
|
金泰延
|
185~192
|
0
|
22 |
知能的建物시스템 制御를 위한 混成型電算모델의 開發
|
장성주
|
193~200
|
0
|
23 |
LCC 영향도 다이어그램의 不確實性段階에서 의사결정자를 위한 최적 영역 계산법에 관한 硏究
|
정순성
|
201~208
|
0
|
24 |
학교건축물의 에너지소비 원단위화에 관한 연구 - 대구광역시 소재 초?중?고등학교를 대상으로 -
|
조두상
|
209~216
|
7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