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모델링 기반의 선회와류식 SBR 공법이 적용된 하수처리장 및 마을하수도 동절기 총인 개선방안 연구
|
이현섭
|
251~256
|
0
|
2 |
함평만 무안 지역 갯벌의 식생 및 비식생 환경에서 이산화탄소 농도와 플럭스의 계절 변동
|
소윤환
|
257~266
|
0
|
3 |
자연자원관리를 위한 핵심도구: 적응관리
|
박영철
|
267~280
|
0
|
4 |
다변량 통계분석을 이용한 남부 내륙지역 태풍피해예측모형 개발
|
김연수
|
281~289
|
0
|
5 |
도시 유역에 위치한 하구를 구성하는 하천의 저영향 개발 기간 산정
|
정안철
|
290~297
|
0
|
6 |
Wind Fragility for Urban Street Tree in Korea
|
심 비리야붓
|
298~304
|
0
|
7 |
강우 측정 지점에 따른 도시 유역 유출량 변화 분석
|
현정훈
|
305~311
|
0
|
8 |
의사결정나무를 이용한 낙동강 본류 구간의 남조류 발생특성 연구
|
정우석
|
312~320
|
0
|
9 |
Filter Media Specifications for Low Impact Development: A Review of Current Guidelines and Applications
|
Heidi B. Guerra
|
321~333
|
0
|
10 |
Effect of Unexpected Foaming Incident on Nitrogen Removal in a Vertical Subsurface Wetland
|
Jing Cheng
|
334~343
|
0
|
11 |
일 최저 기온을 이용한 한국의 폭염사상 추세
|
김령은
|
344~353
|
0
|
12 |
Development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for Kurunegala City, Sri Lanka
|
N. J. D.G. Reyes
|
354~364
|
0
|
13 |
이산형 웨이블릿 변환을 통한 조위 자료 내 파고 성분 분리
|
유영훈
|
365~373
|
0
|
14 |
하수처리수와 하천 비점오염원을 이용한 생태적 재처리 효과와 생물 서식처 창출 방안 - 왕포천 생태적수질정화비오톱(Sustainable Structured wetland Biotop) 시스템 사례를 중심으로 -
|
변찬우
|
374~383
|
0
|
15 |
Comparison of nutrient removal efficiency of an infiltration planter and an infiltration trench
|
K.A.V. Yano
|
384~391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