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초고령화사회의 노인복지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
|
이희성
|
1~29
|
0
|
2 |
초고령사회를 대비한 고령자 고용의 쟁점과 과제
|
최홍기
|
31~85
|
0
|
3 |
AI 등과 산업안전보건 법제의 향방
|
송강직
|
87~112
|
0
|
4 |
산업안전보건법상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도입안 소고
|
전형배
|
113~138
|
0
|
5 |
복수노조 병존과 부당노동행위 – 단체교섭에 따른 차별적 처우와 사용자의 중립의무를 중심으로 –
|
박지순
|
139~168
|
0
|
6 |
채용내정 취소의 정당성
|
유성재
|
169~201
|
0
|
7 |
노동의 디지털화에 따른 일하는 방식의 변화와 노동법의 미래 – 재택근로의 제도화를 중심으로 –
|
권혁
|
203~227
|
0
|
8 |
근로기준법상 근로자대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
|
이상준
|
229~261
|
0
|
9 |
산업안전보건법에서의 농작업안전보건 규율체계 제정에 관한 소고
|
김영문
|
263~333
|
0
|
10 |
일급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월 고정수당을 시간급 통상임금으로 환산하는 경우 가산수당산정을 위한 가산율을 포함해야 하는지 – 대법원 2020.1.22., 선고 2015다73067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–
|
한광수
|
335~377
|
0
|
11 |
복수노조하에서 조합간 차별과 공정대표의무 및 중립의무 위반 여부 – 대상판결: 부산고등법원 2018.12.13. 선고 2018나11667판결(1심 판결: 창원지방법원 2018.5.17. 선고 2017가합52453 판결) –
|
김희성
|
379~420
|
0
|
12 |
남북한 노동법제 통합과 경제적 협력증진 방안 연구 – 개성공업지구 사례를 중심으로 –
|
문무기
|
421~454
|
0
|
13 |
자영업자 등의 고용보험 적용대상 확대 방안 – 프랑스 입법례를 참고하여 –
|
양승엽
|
455~496
|
0
|
14 |
‘쟁의 기간 중 신분보장’을 정한 단체협약의 법적 효력과 한계 – 대법원 2018. 10. 4. 선고 2016다242884 판결을 소재로 하여 –
|
이정
|
497~520
|
0
|
15 |
독일 최저임금법을 둘러싼 실무상 쟁점에 관한 고찰
|
오상호
|
521~563
|
0
|
16 |
보호고용된 장애인에 대한 최저임금의 적용제외 제도 – 근로장애인의 근로자성을 중심으로 –
|
조성혜
|
565~605
|
0
|
17 |
공정대표의무제도의 법적성격과 내용 – 미국 공정대표의무 법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–
|
이준희
|
607~658
|
0
|
18 |
고용기회에서의 장애인 차별
|
이수연
|
659~698
|
0
|
19 |
대리운전기사의 노동조합법상 근로자성 판단 – 대상판결: 부산고등법원 2020. 8. 26 선고, 2019나58639 판결 –
|
방준식
|
699~725
|
0
|
20 |
중간착취 배제규정의 기원과 현재적 의의 Ⅰ – 노무도급의 적법성에 관한 논증책임의 소재 규명을 위한 법제사적 검토 –
|
전윤구
|
727~764
|
0
|
21 |
경제사회노동위원회의 근로자대표제 합의문에 관한 소고
|
이종수
|
765~803
|
0
|
22 |
일본 LGBT에 관한 노동 문제와 법 정책 과제 – 후생노동성의 ‘직장에 있어서 다이버시티 추진사업’과 상담내용을 중심으로 –
|
이나경
|
805~843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