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청소년이 지각한 부모-자녀 의사소통과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모공감의 매개효과 면대면 및 스마트폰 의사소통 방식을 중심으로
|
최성희
|
1~19
|
0
|
2 |
COVID-19 상황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기혼자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부공동대처의 조절효과
|
주수산나
|
21~39
|
0
|
3 |
아버지의 행복감, 어머니의 행복감, 자녀의 행복감과 자존감 간의 종단적 상호관계
|
나경애
|
41~60
|
0
|
4 |
중년 1인 가구의 사회적 관계와 경제적 노후준비
|
성혜영
|
61~79
|
0
|
5 |
빈곤 여성 한부모의 자립에 관한 질적연구* 자활사업 참여 경험을 중심으로
|
김은경
|
81~110
|
0
|
6 |
발달장애 청소년 어머니의 자녀 직업준비경험에 관한 연구
|
김민경
|
111~129
|
0
|
7 |
대학생의 정서적 학대 경험과 분노와의 관계에서 자기체계 손상의 다중병렬매개효과
|
김태은
|
131~146
|
0
|
8 |
대학생의 가정폭력 경험이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외상 후 성장에 의한 자기체계 손상의 조절된 매개효과
|
이은경
|
147~169
|
0
|
9 |
포스트 코로나 시대 워킹맘의 육아 스트레스 경험과 적응 과정에 관한 연구
|
이유경
|
171~201
|
0
|
10 |
위계적선형모형(HLM)을 적용한 아버지역할 증진을 위한 웹기반 아버지교육프로그램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 변인 탐색* 지속가능성 증진을 위한 증거기반실무를 중심으로
|
윤성민
|
203~227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