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중국 고대 민간가요의 ‘閨怨’주제 考
|
윤혜지
|
235~260
|
0
|
2 |
중국문학 상호작용 교육 콘텐츠 저작도구 연구
|
박정원
|
~
|
2
|
3 |
越南生使用副“不”和“”的偏分析 兼比的“不”和“”越南的“khg”
|
霞
|
~
|
0
|
4 |
吳文英 妓女詞의 예술특징 探究
|
이태형
|
~
|
0
|
5 |
五、四期的人材小中的事*-- 20世中作家的事究(二)
|
藤 田 梨 那
|
~
|
0
|
6 |
高行健式 “文學의 理由” ――短篇小說을 중심으로――
|
배도임
|
~
|
1
|
7 |
中文化的南播南文文文化母
|
福吉
|
~
|
0
|
8 |
老乞大解》版本究 以“却”字中心
|
남여명
|
~
|
0
|
9 |
《老乞大》的商特征及其示
|
柳岳梅
|
~
|
0
|
10 |
『洪武正韻譯訓』 중국어 성모의 정속음 대응 양상
|
권은선
|
~
|
1
|
11 |
‘上’의 다의성 연구
|
백지훈
|
~
|
0
|
12 |
한국 학생의 ‘把’자문 습득 상황 분석
|
임재호
|
~
|
0
|
13 |
方位“里、中、”的合用
|
文雅
|
~
|
1
|
14 |
방향보어 ‘起’, ‘上’의 방향성考察
|
정주영
|
~
|
0
|
15 |
『鶴山樵談』의 三唐詩人論과 李達詩의 盛唐風 考察
|
김원
|
~
|
0
|
16 |
형용사가 부사어와 정도보어로 될 때의 제약조건 연구
|
김기범
|
~
|
0
|
17 |
現代大學中文系的知識體系與新文學的生存空間 --以6所國立大學中文系的課程爲中心實證考察 -
|
沈衛威
|
~
|
0
|
18 |
“因忠和勇敢而致悲”一路翎的“志愿材”小
|
商金林
|
~
|
0
|
19 |
迅作家比究的史特点-中代文比究的策略性思考里行探索
|
박재우
|
~
|
1
|
20 |
中的能愿究
|
王海娟
|
~
|
0
|
21 |
身意形:合的悖《沙床》中的力比多
|
朱崇科
|
~
|
0
|
22 |
"首"에서 나타나는 한국인의 발음특징에 관하여
|
권영실
|
~
|
1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