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18세기 장흥지역 향촌의 위기상황과 대응양상-<임계탄(壬癸嘆)>을 중심으로-
|
박수진
|
19~52
|
0
|
2 |
한국 SF에서 나타난 환경 위기 인식 연구
|
이지용
|
53~74
|
0
|
3 |
정보기술 환경에서의 문해력과 노동의 접합-상징궁핍과 디지털 지대경제의 격자구조 비판-
|
신현우
|
75~106
|
0
|
4 |
비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
|
노채환
|
107~129
|
0
|
5 |
4음절 형식 두음절어의 특징과 사용 요인
|
김정윤
|
133~153
|
0
|
6 |
말뭉치를 활용한 ‘갖다가’ 연구
|
김종희
|
155~194
|
0
|
7 |
1930년대 대중소설에 나타난 여성 가정교사 재현 문제-김말봉 <찔레꽃>(1937)을 중심으로-
|
허예슬
|
195~220
|
0
|
8 |
한글 맞춤법의 원리에 대한 재고찰
|
이선웅
|
223~250
|
0
|
9 |
「沈生傳」의 愛情 傳奇小說의 계승과 변모 양상
|
서보현
|
251~271
|
0
|
10 |
소설 속의 설렁탕-현진건의 「운수 조흔 날」을 중심으로-
|
박현수
|
273~305
|
0
|
11 |
김주영 소설에 나타난 ‘숙맥’의 서사와 현실탐색-1970년대 단편소설을 중심으로-
|
이화진
|
307~337
|
0
|
12 |
어둠 속의 목소리, 김석범 소설의 방법론으로서 발화 충동-<관덕정>과 <유방 없는 여자>를 중심으로-
|
장인수
|
339~364
|
0
|
13 |
중역과 혁명, 비상시의 세계문학과 그 사명-김남주의 시와 번역을 실마리로-
|
황호덕
|
365~398
|
0
|
14 |
세기를 건넌 한국 노동소설(2)-『노동자의 이름으로』에 나타난 열사, 진정성 그리고 1990년대-
|
천정환
|
399~435
|
0
|
15 |
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의 문제점 고찰- 자음의 발음 교육 부분을 중심으로 -
|
왕요
|
437~477
|
0
|
16 |
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의 가치문화 교육 방안 연구-조남주의 『82년생 김지영』을 중심으로-
|
김한근
|
479~505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