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국가폭력 연구의 최근 경향과 새로운 연구 방향 모색
|
홍성흡
|
5~28
|
13
|
2 |
국가폭력의 양상과 성격 -1984년 인도 시크 대학살 사건을 중심으로
|
김경학
|
29~58
|
3
|
3 |
서파푸아분쟁과 국가폭력에 대한 제노사이드 담론의 구조와 함정
|
조윤미
|
59~84
|
4
|
4 |
제1공화국 초기의 국가보안법 제정과 개정
|
변동명
|
85~122
|
7
|
5 |
산업민주주의와 경영참여-이론적 재검토
|
박해광
|
123~146
|
5
|
6 |
문화,인권, 그리고 광주정신
|
박구용
|
147~176
|
9
|
7 |
5·18 민중항쟁과 기억의 서사화 -8·90년대 중단편소설을 중심으로
|
김정숙
|
177~204
|
15
|
8 |
거리의 정치와 공공미술 광주 금남로 조각의 거리를 중심으로
|
김종헌
|
205~226
|
3
|
9 |
도미에 작품에서의 혁명 이미지 연구
|
정금희
|
227~252
|
1
|
10 |
윤이상의 교성곡『나의땅, 나의민족이여!』에 관하여
|
정유하
|
253~290
|
3
|
11 |
헌정공학의 새로운 이론적 틀 모색- 한국 헌정체제의 규범적 좌표와 제도적 선택
|
김용호
|
291~320
|
2
|
12 |
한국시민사회의 정치과정과 성격변화 - 1990년대 이후 시민사회의 갈등적 제도화-
|
홍성태
|
321~346
|
5
|
13 |
일본의 다문화 정책과 재일동포의 인권
|
조상균
|
347~367
|
12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