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하위계층에 투영된 지배 엘리트의 식민주의적 시선 - 이문열의 ≪변경≫을 중심으로 -
|
권유리야
|
5~34
|
0
|
2 |
김춘수와 김수영 시의 모더니티 - ‘자유’에 관한 사유를 중심으로 -
|
李恩實
|
35~55
|
2
|
3 |
『漂海錄』 문화콘텐츠 만들기 연구
|
안영길
|
57~72
|
6
|
4 |
「심청전」에 나타난 토포스와 서사적 意味
|
黃慶淑
|
73~92
|
0
|
5 |
국어 성조체계의 변화에 관한 연구
|
조성문
|
93~115
|
3
|
6 |
고려시대 송나라 사행해로(使行海路) 누정의 변천 연구
|
허경진
|
117~139
|
9
|
7 |
王瑤와 그의 『中國新文學史稿』
|
박정희
|
141~160
|
1
|
8 |
探析章太炎政治活動與其古文經學
|
금지수
|
161~186
|
1
|
9 |
孫中山的政治理想主和“互助” - 物以競原則,人類則以互助原則 -
|
조세현
|
187~198
|
0
|
10 |
蜀漢·魏晉 王朝의 南中 지배와 南中大姓
|
정면
|
199~232
|
3
|
11 |
중국 고전문헌에 보이는 ‘바다(海)’ 의미 - ≪尙書≫를 중심으로 -
|
金昌慶
|
233~254
|
9
|
12 |
위구르 무캄의 연구 - 다랑무캄을 중심으로 -
|
홍주희
|
255~273
|
4
|
13 |
어휘적 복합동사 [원인-결과] 구조의 분석 - 동사의 파생과 관련하여 -
|
신현숙
|
275~307
|
1
|
14 |
コミュニケション能力向上のための日本語文法シラバス
|
李舜炯
|
309~332
|
3
|
15 |
대학교의 일본어 교재에 나타나는 사회어용론적인 오용의 분석과 평가
|
조남성
|
333~358
|
4
|
16 |
전후 일본의 아동관 변천에 관한 고찰
|
박은희
|
359~377
|
2
|
17 |
1895년~1914년 일본의 우익연구 - 단체·운동·사상을 중심으로 -
|
김채수
|
379~448
|
4
|
18 |
北条義時·泰時의 權力擴大過程에 관한 考察
|
신종대
|
449~468
|
0
|
19 |
山の民·川の民の新義律派からの離脫をめぐる村落神話 - 播磨國印南郡益氣を事例に -
|
金子 哲
|
469~485
|
0
|
20 |
多弁の異端兒,默して去る - 日本の自由大學運動に影響を與えた英國人,M·Eポ-ルの長崎居留地生活(1896~99) -
|
岡本洋之
|
487~498
|
0
|
21 |
中世都市鎌倉における町屋 - 生相と態をめぐって -
|
鈴木弘太
|
499~513
|
0
|
22 |
日本中世武家社における一族と一門 - 小早川家文書を中心に -
|
萬井良大
|
515~535
|
0
|
23 |
村上春樹「トニ―瀧谷」를 읽기 위하여
|
趙正民
|
537~554
|
0
|
24 |
空와 共存하는 <海>- 中也 詩의 <海>에 關하여 -
|
최연희
|
555~575
|
0
|
25 |
富蘆花와 기독교 - 에르네스트 루낭의 예수전과의 관계 -
|
윤일
|
577~593
|
1
|
26 |
상하이협력기구(SCO) 회원국들의 역학적 관계 분석 및 전망
|
성동기
|
595~612
|
5
|
27 |
러시아 극동, 시베리아지역의 정치권력구조 - 연방주체들의 제도적 규정을 중심으로 -
|
康惠蓮
|
613~648
|
1
|
28 |
인간의 ‘행위’를 의미하는 러시아어 동사관용구 연구
|
崔潤凞
|
649~671
|
1
|
29 |
The effect of level and ethnicity on the students’ achievement
|
박종원
|
673~695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