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접속 영역의 관점에서 본 ‘-다면’ 접속문의 유형과 실현 양상: ‘-면’ 접속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
|
김수정
|
3~23
|
0
|
2 |
조선시대 임진왜란 일기자료의 현황과 傳存 양상
|
최은주
|
25~59
|
0
|
3 |
[묵재일기]를 통해 본 16세기 사대부 여성의 초상
|
박양리
|
61~92
|
0
|
4 |
17~18세기 초 통신사 필담 속 衣冠 관련 기록의 양상
|
장진엽
|
93~125
|
0
|
5 |
성해응(成海應)이 서술한 염극태(廉極台)가 협객일 가능성에 대한 논의
|
김경회
|
127~154
|
0
|
6 |
석주(石洲) 이상룡(李相龍) 북경체험의 문학적 형상화와 지향의식
|
신소윤
|
155~180
|
0
|
7 |
전래동화에서 설화와 민요의 수용 양상 연구: 강준영의 「내 아들 방아깨비야」를 중심으로
|
이영희
|
181~199
|
0
|
8 |
일제 말기 김사량 소설의 공간 형상화 전략 연구
|
이희원
|
201~232
|
0
|
9 |
박완서 소설과 잠의 젠더화: [나목]과 [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]를 대상으로
|
이경
|
233~264
|
0
|
10 |
도시 정체성 재구성을 위한 전통 복원 양상과 곤경: 울산 영화를 중심으로
|
조명기
|
265~290
|
0
|
11 |
일본의 요괴 설화와 한국의 도깨비 설화 비교를 통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연구
|
이행선
|
291~316
|
0
|
12 |
오리(梧里) 이원익(李元翼)의 가정경영론(家庭經營論)
|
윤혜민
|
317~342
|
0
|
13 |
영조조 肇慶廟 건립에 관한 禮學的 고찰
|
유영옥
|
343~370
|
0
|
14 |
19世紀 朝鮮 ‘解由文書’를 통해 본 釜山鎭 水軍의 軍備와 武器體系
|
박진철
|
371~404
|
0
|
15 |
회재 이언적 유적지의 풍수적 특성
|
박성대
|
405~436
|
0
|
16 |
양택풍수의 택지론과 현대적 의미
|
천인호
|
437~468
|
0
|
17 |
1990년대의 국제화ㆍ세계화와 대중 민족주의
|
박해남
|
469~513
|
0
|
18 |
한국 민주주의와 정당정치 활성화
|
나종만
|
515~543
|
0
|
19 |
100만 분의 1보다 낮은 사고 확률: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 드러내고 감추기
|
김건희
|
545~590
|
0
|
20 |
중국 대도시 지역 노동실태를 통해 본 조선족 공동체의 전망: 대련, 청도, 심양 지역 조사를 중심으로
|
방미화
|
591~626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