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지적기술 교육의 발전방향
|
김윤기
|
1~16
|
0
|
2 |
새주소사업의 행정적 효율성 제고에 관한 연구
|
최승영
|
17~29
|
6
|
3 |
지적측량 수요와 도시특성 요인간 영향요인 실증적 연구
|
이재혁
|
31~42
|
0
|
4 |
독도리 지번의 특성 연구
|
이범관
|
43~54
|
2
|
5 |
지적 혁신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
|
이동현
|
55~70
|
7
|
6 |
하천 지형복원을 위한 공간 보간기법 연구
|
이근상
|
71~80
|
0
|
7 |
세계측지계 전환에 따른 지적측량의 거리 및 면적 변화 연구
|
양철수
|
81~89
|
3
|
8 |
상관분석을 이용한 GIS기반 태양광발전소 적지분석 연구
|
박정일
|
91~107
|
4
|
9 |
日帝에 의한 朝鮮潛入盜測硏究
|
허종구
|
109~125
|
2
|
10 |
지적재조사사업의 산업별 파급 효과 분석
|
김선주
|
127~142
|
6
|
11 |
토지측량방식으로서 九章算術(구장산술)의 유용성
|
김영학
|
143~156
|
0
|
12 |
대한지적공사의 사회공헌활동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
|
김봉준
|
157~170
|
0
|
13 |
지적재조사를 위한 지상기준점 측량비용 현실화에 관한 연구
|
유병민
|
171~180
|
2
|
14 |
朝鮮後期地籍의 沿革과 槪念正立에 관한 연구
|
윤병찬
|
181~195
|
1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