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조선후기 장편소설의 낭만성 검토
|
강상순
|
7~31
|
4
|
2 |
전기적 시간의 낭만성 소고
|
조현설
|
33~50
|
0
|
3 |
16세기 강호시조의 낭만적 성격
|
김용철
|
51~78
|
3
|
4 |
"주변인들"의 미적 의미 - 1920년대 초기 동인지를 중심으로 -
|
김행숙
|
79~111
|
4
|
5 |
낭만적 주체성의 형성과 전개 -나도향의 경우-
|
오양진
|
113~135
|
2
|
6 |
최재서의 개성론 연구
|
전용호
|
137~157
|
2
|
7 |
무가 전승의 변화-문서와 연행의 차이-
|
홍태한
|
161~179
|
1
|
8 |
현대소설에 나타난 분단콤플렉스의 고착 양상 연구
|
안남일
|
181~207
|
0
|
9 |
1930년대 후반의 한설야 소설 연구
|
나명순
|
209~230
|
6
|
10 |
退溪의 詩世界와 心身修練法의 關係
|
윤경희
|
231~251
|
3
|
11 |
‘명사+동사’형 합성동사의 형성 원리
|
고광주
|
253~278
|
8
|
12 |
국어 형용성 동사의 의미적 특성
|
도원영
|
279~299
|
2
|
13 |
조선 후기 국어 연구자들의 종성 의식에 대하여
|
이상혁
|
301~331
|
0
|
14 |
국어 구문적 공기관계 연구
|
박병선
|
333~351
|
5
|
15 |
한국어 어절 중의성의 출현 양상-어휘의 계량적 연구 방법을 통하여-
|
남경완
|
353~378
|
4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