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초국가주의시대 미국 문학 속 탈북난민 내러티브 연구
|
김대중
|
7~28
|
0
|
2 |
법, 몸, 공간: ≪헝거≫와 ≪남영동 1985≫에 나타난 예외상태
|
김성훈
|
29~52
|
0
|
3 |
존 단과 T. S. 엘리엇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죽음과 시간의 문제
|
김정규
|
53~74
|
0
|
4 |
베트남 다문화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부모 문화이해교육 방안: 베트남 설화 ‘땀’과 ‘깜’을 중심으로
|
김종애
|
75~94
|
0
|
5 |
『앤슨의 세계 일주』 속의 중국 묘사에 대한 프랑스 계몽주의 철학자들의 해석
|
김중현
|
95~117
|
0
|
6 |
재현으로서의 전쟁문학과 주체의 거리두기: 『강철 폭풍 속에서』와 『무기의 그늘』 비교연구
|
김지아
|
119~144
|
0
|
7 |
『구운몽 』과 『인생은 꿈』의 세속적 욕망과 문화적 표상
|
나송주
|
145~165
|
0
|
8 |
어슐러 K. 르 귄의 『환영의 도시』에서의 이중서사구조와 도가적 영향 연구
|
마춘옥
|
167~187
|
0
|
9 |
한흑구의 시에 나타난 민주주의 고찰
|
맹문재
|
189~211
|
0
|
10 |
덕 윤리(Virtue Ethics)로 고찰한 『종달새의 노래』
|
변효정
|
213~235
|
0
|
11 |
초국적 이중 언어작가 김용익의 본향 통영: 「밤배」와 「밀수선」을 중심으로
|
손병용
|
237~260
|
0
|
12 |
<싸우크르아화>: 태국에서 <나비부인>의 수용과 변형
|
신근혜
|
261~286
|
0
|
13 |
『기상도』에서 읽는 『황무지』의 영향: 태풍과 재생의 테마에서
|
신원철
|
287~307
|
0
|
14 |
中有이론으로 反出生主義 再考
|
원혜영
|
309~328
|
0
|
15 |
트리스트람과 이졸트의 사랑의 서사: 테니슨과 로빈슨 시의 비교 연구
|
이경옥
|
329~354
|
0
|
16 |
명말(明末) 소설 『요해단충록』(遼海丹忠錄)과 사르후 전투
|
임경준
|
355~378
|
0
|
17 |
『표해록』과 『하멜표류기』에 나타난 ‘표류’(漂流)의 서사적 상징의 의미
|
전한성
|
379~405
|
0
|
18 |
셰이머스 히니와 故허수경의 고고학적 상상력 비교
|
한지희
|
407~432
|
0
|
19 |
Literature as a Call for Societal Change: Koji Suzuki’s Ringu
|
황승현
|
433~456
|
0
|
20 |
Life Under Fetters: Trevor’s “The Potato Dealer” and Kavanagh’s “The Great Hunger”
|
고영희
|
457~476
|
0
|
21 |
Ishiguro’s The Remains of the Day: A Butler’s Englishness from 1923 to 1956
|
이석광
|
477~497
|
0
|
22 |
An Analysis of Female Narrative Voice in Alice Walker’s The Color Purple
|
마철
|
499~527
|
0
|
23 |
Cybernetics and the Embodied Posthuman: Do Androids Dream of Electric Sheep? and Never Let Me Go
|
류기택
|
529~554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