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줄넘기 운동이 남자 중학생의 건강관련체력에 미치는 영향
|
김도연
|
1~7
|
6
|
2 |
남자 중학생 복싱선수의 복싱 경기 전·후 혈청 크레아틴인산효소와 젖산탈수소효소 활성도의 변화
|
김종오
|
9~16
|
1
|
3 |
노화가 반응시간과 근수축 양상에 미치는 영향
|
김현주
|
17~26
|
2
|
4 |
지역 중·고등학교 태권도 선수들의 제조성 및 체형 특성
|
박경희
|
27~36
|
0
|
5 |
초등 고학년 아동의 줄넘기 학습에 의한 기능 및 운동량 발달 경향
|
박정화
|
37~46
|
1
|
6 |
효과적 유아체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연구
|
심재희
|
47~60
|
1
|
7 |
교정체조가 초·중·고 학생의 신장·유연성·척추측만 교정에 미치는 영향
|
양점홍
|
61~74
|
12
|
8 |
8주간의 줄넘기 운동이 비만아동의 체지방율, 혈청지질 및 효소 수준에 미치는 영향
|
이명재
|
75~83
|
9
|
9 |
복합 운동과 유산소 운동이 중년 남성들의 노화 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
|
이상욱
|
85~92
|
19
|
10 |
장기간의 한국무용이 갱년기 여성의 골밀도와 에스트로겐 농도 및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
|
이청무
|
93~103
|
4
|
11 |
댄스 스포츠 운동이 중년기 여성의 신체조성과 혈중지단백 변화에 미치는 영향
|
임병규
|
105~117
|
4
|
12 |
체중감량시 철 튜여가 고교 운동선수의 혈액성분 및 유·무산소성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
|
정진원
|
119~132
|
1
|
13 |
수상캠프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대상 청소년의 긍정적 자기개념 향상에 미치는 영향
|
조은경
|
133~144
|
4
|
14 |
장기간 크레아틴과 호르몬 제재의 섭취가 반복 최대 운동시 무산소성 파워 및 혈액변인에 미치는 영향
|
조현철
|
144~156
|
1
|
15 |
운동형태에 따른 비만 초등학생의 신체성분 및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
|
한상철
|
157~167
|
5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