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갑골문 ‘’ 편방의 의미 유형 고찰
|
양만기
|
1~16
|
0
|
2 |
容庚 四版≪金文編≫의 체제상 문제점 연구
|
최남규
|
17~35
|
0
|
3 |
秦系文字의 借筆現象에 대한 考察
|
이상기
|
37~55
|
0
|
4 |
從《說文·女部》看女性社地位的變
|
무문상
|
57~63
|
1
|
5 |
中國 上古時期와 高句麗의 語音 비교(2)
|
김태완
|
65~101
|
2
|
6 |
중국어와 영어의 술어 대조 -술어 번역을 중심으로-
|
유영기
|
103~118
|
0
|
7 |
“空穴”的用法及其他-由“用”引的言 -
|
왕경
|
119~127
|
0
|
8 |
語言的規範性與表達性- 對學校語文敎學的文化審視
|
여욱
|
129~136
|
0
|
9 |
사마천 하상주의 문명사관 형성에 대한 小考
|
오만종
|
137~149
|
0
|
10 |
唐宋詞壁播方式究
|
전석생
|
151~177
|
0
|
11 |
由透的精神與代個體精神的突及交融
|
모가빈
|
179~191
|
0
|
12 |
高啓詩歌的藝術特徵
|
왕국도
|
193~212
|
0
|
13 |
≪斷魂槍≫에 투영된 ‘중화’의 몰락
|
고혜경
|
213~226
|
2
|
14 |
자전소설의 자아와 서사 ― 個體적 자유의지의 창작실천
|
김경석
|
227~239
|
2
|
15 |
〈北京人〉의 象徵性 考察
|
이상우
|
241~256
|
1
|
16 |
文化大革命의 상징: 樣板戱
|
양회석
|
257~278
|
4
|
17 |
1980년대 주요 중국문학사의 서술 시각 분석
|
이등연
|
279~302
|
7
|
18 |
“중국”의 역사적 심상 공간
|
최승현
|
303~321
|
2
|
19 |
塗山禹王廟會考
|
안동환
|
323~348
|
2
|
20 |
안휘 화고등 춤패의 배역 및 그 춤사위
|
민혜란
|
349~374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