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김영삼 정부의 한・미 미사일 지침 개정 실패 원인
|
김지일
|
1~26
|
0
|
2 |
남북한의 민족 개념 비교연구 -김정일 시기(1995~2010)를 중심으로-
|
권지민
|
27~48
|
0
|
3 |
노인복지정책의 전환: 재가복지시설에서 커뮤니티케어로의 전환 및 경상북도에 대한 시사점
|
김병문
|
49~72
|
0
|
4 |
독도 문제에 관한 중국 학자의 연구 동향
|
이문철
|
73~92
|
0
|
5 |
북한 의무교육체제와 정치교육 변화 분석
|
이성희
|
93~118
|
0
|
6 |
북한의 사이버 공격과 통신 감시시스템 분석
|
신진
|
119~140
|
0
|
7 |
‘사립 달성학교’ 자료를 통해서 본 대구지역 정치 엘리트의 사회적 기원
|
임경희
|
141~163
|
0
|
8 |
오바마 행정부와 트럼프 행정부의 대 이란 대응전략의 비교 분석
|
연정례
|
165~192
|
0
|
9 |
조직정치지각(知覺)에 관한 경로모형 비교 분석
|
민기
|
193~220
|
0
|
10 |
중미충돌의 실체와 한국의 선택에 대한 연구
|
박광득
|
221~241
|
0
|
11 |
코로나 사태의 국제정치학적 함의 -비인간은 ‘행위자’인가?-
|
은진석
|
243~270
|
0
|
12 |
한국 청년세대의 정치적 대표성과 정치참여
|
최선
|
271~294
|
0
|
13 |
한미동맹과 NATO: 정체성의 변화와 동맹의 미래
|
박봉규
|
295~314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