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N. 스캇 마마데이의 문화변용과 그 생태비평적 함의
|
강용기
|
1~28
|
0
|
2 |
무질서 속의 질서―존 혹스의 ?희화화?와 리처드 파워즈의 ?황금 벌레 변주곡?
|
김상구
|
2~54
|
0
|
3 |
현대 서사의 불안: ?프랑스 중위의 여자?에서의 역사주의와 반역사주의 사이의 긴장
|
김성호
|
3~14
|
2
|
4 |
영문학 작품 다시 쓰기의 의미―Wuthering Heights와 Windward Heights의 경우
|
김정숙
|
4~96
|
1
|
5 |
감시와 복종: 조이스와 경찰
|
남기헌
|
5~128
|
0
|
6 |
얼굴 찾기와 소명의 역설: C. S. 루이스의 ?우리가 얼굴을 가질 때까지?
|
박정미
|
6~154
|
1
|
7 |
죤 오카다의 ?노노보이?에 나타난 일본계 미국인의 어두운 자화상: 아시아계 미국문학의 특수성에 대한 한 고찰
|
박진임
|
7~176
|
6
|
8 |
토니 모리슨의 ?빌러비드?와 엘리자베스 김의 ?만가지 슬픔?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 연구
|
신진범
|
8~196
|
3
|
9 |
“진정한 여성성”이란 무엇인가? 흑인 여성 노예의 “여성성”: 해리엇 제이콥스의 ?흑인 여성 노예의 삶에서 생긴 사건들?을 중심으로
|
여재혁
|
9~218
|
4
|
10 |
문화적 식민화와 저항: 제시카 하게돈의 ?개고기 먹는 사람들?
|
이숙희
|
10~242
|
1
|
11 |
주체와 타자의 대화적 공간으로서의 제임스 소설
|
이효석
|
11~268
|
0
|
12 |
Dialogic Discourse in Terms of Race and Nature in William Faulkner's Go Down, Moses
|
장경순
|
12~294
|
0
|
13 |
?떠 오르는 슬픔?(Surfacing Sadness)
|
류선모
|
13~300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