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교육철학의 학문적 성격과 발전 과제
|
정영수
|
5~22
|
3
|
2 |
칸트 미학의 교육적 의미
|
김영래
|
23~50
|
7
|
3 |
敎育理念으로서 弘益人間에 대한 비판적 검토
|
신창호
|
51~69
|
9
|
4 |
교육공동체의 위기 타개를 위한 구성집단간의 대안적 관계 모색
|
김경근
|
71~91
|
2
|
5 |
일제 식민지 시기 학력 담론의 출현과 분화
|
손준종
|
93~115
|
9
|
6 |
한국의 교육문제와 노무현 정부의 교육혁신 과제
|
권대봉
|
117~140
|
4
|
7 |
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학교와 정부의 역할
|
신현석
|
141~178
|
8
|
8 |
학교의 책무성에 관한 고찰 - 미국 교육계의 최근 동향을 중심으로
|
이성호
|
179~199
|
3
|
9 |
학교운영위원회에 대한 위원간 인식 차이 분석
|
원효헌
|
201~226
|
1
|
10 |
대학 교양교육과정의 개선방안 및 새 교양교육과정 개발 - 삼육대학교를 중심으로
|
박완성
|
227~259
|
2
|
11 |
디자인 중심 학습에서 각명의 역할
|
김종백
|
261~277
|
0
|
12 |
학습자의 정보화능력과 교사의 교육정보화에 관한 패러다임
|
최욱
|
279~302
|
0
|
13 |
대학정보화 정책의 비판적 검토를 통한 교수-학습활동의 혁신 방향 모색
|
박인우
|
303~326
|
1
|
14 |
세계화 시대에 대응하는 인적자원개발전문가의 역할과 역량
|
정용진
|
327~374
|
10
|
15 |
교사의 퇴직기대 유형에 관한 연구
|
이정의
|
375~397
|
2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