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『混一疆理歷代國都之圖』의 제작과 조선 태종의 천도 및 지방행정제도 개혁과의 관계
|
왕치엔진
|
1~48
|
4
|
2 |
『混一疆理歷代國都之圖』의 山嶽 표기에 나타난 諸認識
|
백옥경
|
49~74
|
3
|
3 |
『混一疆理歷代國都之圖』의 아프리카: 비교사적 검토
|
조지형
|
75~106
|
3
|
4 |
고려 후기 『法華經』 靈驗譚 유포와 그 의의: 『海東法華傳弘錄』을 중심으로
|
김영미
|
107~140
|
6
|
5 |
근대 초 『한성순보』에 나타난 공학으로서의 과학과 ‘근대 지식’
|
김수자
|
141~168
|
3
|
6 |
개화기 고아구제 연구
|
이방원
|
169~202
|
3
|
7 |
대한제국기 조선요리옥의 출현
|
정형지
|
203~236
|
1
|
8 |
일제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인식과 태도
|
이방현
|
237~277
|
4
|
9 |
일제시기 수원지역 일본인 회사지주의농업 경영
|
하지연
|
279~309
|
2
|
10 |
중국 ‘역사지리학’ 지적구조와 연구자 네트워크
|
최은진
|
311~342
|
3
|
11 |
하나의 세계, 근대, 그리고 민족 ― 2012년도 세계사 교과서에 대한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적 성찰 ―
|
박혜정
|
343~371
|
2
|
12 |
세계사 지식 체계의 변화와 교육과정 ― 2007, 2009 세계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―
|
이병인
|
373~407
|
6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