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조선 초기 민 인식의 변화와 언문을 통한 유교 문명화
|
도현철
|
1~28
|
0
|
2 |
“격군심(格君心)”과 조선의 문치
|
이봉규
|
29~57
|
0
|
3 |
유교국가 조선과 비판적 지식인
|
고영진
|
59~85
|
0
|
4 |
이규보의 나르시시즘과 광기
|
문철영
|
87~118
|
0
|
5 |
1713년 대구부 해동촌면 相訟과 갈등의 連鎖 - 옻골 경주 최씨 백불암 고문서의 미시사적 접근 -
|
김동일
|
119~145
|
0
|
6 |
식민지 서적출판문화와 딱지본 대중소설의 모방 양상 연구- 강명화 정사 사건 소재 딱지본 대중소설을 중심으로 -
|
배정상
|
147~176
|
0
|
7 |
조선동요연구협회의 동요운동 연구
|
강영미
|
177~204
|
0
|
8 |
1920년대 중후반 갑자구락부의 제한적 참정권청원운동과 식민지배정책의 동향
|
이태훈
|
205~228
|
0
|
9 |
1946년 경기 지역의 콜레라 사태와 종전/해방 직후 국제·일국·지역 정치
|
임종명
|
229~267
|
0
|
10 |
1950년대 소련 영향력의 증감과 북한 노동자의 대응
|
이세영
|
269~298
|
0
|
11 |
역사학의 시선에서 본 새마을운동의 재현과 세계화
|
김성조
|
299~326
|
0
|
12 |
청의 변경 통제 실상의 흔적 -『琿春副都統衙門檔』의 朝淸關係 滿文 史料 小考-
|
윤욱
|
327~356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