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경제적 자유주의를 통한 신자유주의 극복? - 새로운 스미스 (A. Smith) 해석의 자기모순
|
문성훈
|
1~35
|
0
|
2 |
글로컬의 관점에서 본 유라시아: 정치적·경제적 접근에서 문화적 접근으로
|
박치완
|
37~74
|
0
|
3 |
코로나19 시대와 파놉티콘 다시 보기
|
신응철
|
75~98
|
0
|
4 |
하이데거의 니체 해석과 허무주의 극복의 문제: 허무주의의 본질로서의 존재역운과 무로서의 존재
|
이관표
|
99~132
|
0
|
5 |
가다머와 데리다의 갈등과 상호간 대화 가능성
|
이윤미
|
133~181
|
0
|
6 |
가브리엘 마르셀의 실존적 인간이해
|
이희용
|
181~202
|
0
|
7 |
유교 근대화론에 대한 해석학적 성찰: 하이데거 기술문명비판을 중심으로
|
이경배
|
205~243
|
0
|
8 |
20세기 초 국민경제적 상상과 유교윤리:민족경제담론의 계보학적 탐색
|
김윤희
|
245~277
|
0
|
9 |
위화(余華)의 『제7일』에 나타난 불평등과 ‘경제적 인간
|
김명희
|
277~305
|
0
|
10 |
채만식 문학에 나타난 ‘가족’과 ‘자본’:「심봉사」와 「흥부傳」 을 중심으로
|
황태묵
|
307~332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