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『竹島考(죽도고)』의 安龍福
|
권오엽
|
5~26
|
1
|
2 |
요코미쓰 리이치의 장편소설화 경향
|
김계자
|
27~42
|
0
|
3 |
「排耶蘇」에 나타난 하야시 라잔(林羅山) 의 유학사상에 대한 일고찰
|
김선희
|
43~60
|
1
|
4 |
일제강점기 이마무라 도모(今村鞆)의 <조선인미풍론>에 대한 비판적 분석
|
김영
|
61~84
|
3
|
5 |
WTO 체제하의 일본의 대중국 통상정책의 변화
|
김영근
|
85~115
|
1
|
6 |
요사노 아키코(与謝野晶子)의 ‘성’ 담론
|
김화영
|
117~136
|
1
|
7 |
韓国における継承日本語・日本文化教育の現状 ー韓日国際結婚家庭を対象にー
|
다까하시마리꼬
|
137~162
|
11
|
8 |
罵り表現 ー近世の対称代名詞を中心としてー
|
민승희
|
163~182
|
2
|
9 |
旧日本軍の兵器名に込められた意識分析 ー艦艇名に込められた意識分析を中心にー
|
박청국
|
183~206
|
5
|
10 |
일본어교육의 교수 · 학습 방법에 관한 고찰 - 수도권 중고등학교 일본어교사를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-
|
배덕희
|
207~232
|
0
|
11 |
韓国新聞の日本語版による「一字漢語動詞」の日本語の対応のあり方 ─ 韓日同形「一字漢語動詞」を中心に ─
|
배진영
|
233~252
|
9
|
12 |
일본 조동종(曹洞宗)의 추선공양(追善供養)의 상징구조
|
세키네히데유키
|
253~271
|
2
|
13 |
역접 반사실적 조건표현의 한·일 대조연구
|
송선애
|
273~288
|
0
|
14 |
「희작삼매」(戱作三昧)論 - 바킨(馬琴)을 중심으로 -
|
송현순
|
289~310
|
0
|
15 |
日本における「国語学」と「日本語学」について -「国語学会」の成立と学会の名称改変を中心にして-27)
|
齊藤明美
|
311~331
|
0
|
16 |
일본의 남녀공동참여정책과 그 비판론
|
신경애
|
333~357
|
4
|
17 |
일본 사소설과『외딴방』
|
안영희
|
359~383
|
1
|
18 |
韓国大学教育における「国際サービス・ラーニング」導入へ の一試み
|
야마시타 다이스케
|
385~406
|
5
|
19 |
일본문학작품에 표현된 자연과 인간의 관련양상 -가와바타 야스나리의 『고도(古都)』를 축으로 해서-
|
양연자
|
407~429
|
0
|
20 |
가지이 모토지로(梶井基次郎)의 「레몬(檸檬)」論 ─ ‘레몬(檸檬)’이 갖는 의미의 구조 ─
|
어연경
|
431~449
|
0
|
21 |
高校の日本語教科書で扱われている一人称代名詞の分析
|
원지은
|
451~464
|
2
|
22 |
아쿠타가와 류노스케(芥川龍之介)의 『라쇼몽(羅生門)』에 나타난 신화적 공간 - 상향(上向)에서 하향(下向)으로 향한 ‘사다리’의 이율배반성을 중심으로 -
|
임만호
|
465~482
|
0
|
23 |
古典和歌에 나타난 휘파람새의 表現分析
|
임성철
|
483~505
|
0
|
24 |
매뉴얼화되지 않는 이야기 -山田詠美『風味絶佳』를 중심으로-
|
조정민
|
507~522
|
0
|
25 |
나쓰메 소세키(夏目漱石)의 「화찬시대(畵贊時代)」論
|
진명순
|
523~542
|
0
|
26 |
고대일본의 ‘蛇(蛇神)’에 관한 고찰 - 記紀・風土記를 중심으로 -
|
진은숙
|
543~565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