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이탈리아어 통제구문과 PRO -최소주의적 영격분석을 중심으로-
|
강순행
|
1~26
|
0
|
2 |
이탈리아 여성 문학의 사적 고찰
|
권영혜
|
27~62
|
0
|
3 |
이탈리아의 이야기에 나타난 관계 모티브 소고
|
김효신
|
63~88
|
0
|
4 |
Transversal Communication: Beatrice’s Strategic Bisexuality in the DivineComedy
|
박상진
|
89~107
|
0
|
5 |
전치사와 공간의 개념화: 이탈리아어 전치사 ≪attraverso≫와 프랑스어 전치사 ≪à travers≫를 중심으로
|
서종석
|
109~132
|
1
|
6 |
이탈리아어 완료시제 우언형의 문법화에 대한 소고
|
윤종태
|
133~151
|
0
|
7 |
이탈리아 지역 축제의 정체성 - Catania시의 아가타 성녀 축제를 중심으로 -
|
이기철
|
153~176
|
0
|
8 |
『어페어 모로L'affair Moro』에 나타난 샤샤의 글쓰기 이유
|
주효숙
|
177~202
|
1
|
9 |
Fontamara의 화자와 시점, 그 의미 연구
|
한성철
|
203~228
|
2
|
10 |
UNA POLITICA LINGUISTICA ATTRAVERSO L'APPROCCIO DI MARKETING CULTURALE
|
Vincenzo Fraterrigo
|
229~253
|
1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