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국어 문법형태 기술의 연속성에 대한 연구 ‘-야’와 ‘-이야’의 경우
|
이현희
|
1~25
|
4
|
2 |
19세기 후기 전라방언의 특질 몇 가지에 대한 대조적 고찰- 중간본 ≪여사서 언해≫를 중심으로 -
|
최전승
|
2~81
|
7
|
3 |
‘祭儀’의 관점에서 본 琉璃王 黃鳥歌 기사의 이해
|
신연우
|
3~100
|
2
|
4 |
≪가곡원류≫의 소위 ‘관습구’들, 어떻게 볼 것인가?- 평시조를 중심으로 -
|
신경숙
|
4~126
|
8
|
5 |
현실비판가사의 현실인식과 문학적 성격
|
최상은
|
5~151
|
2
|
6 |
전(傳)의 기록성과 문학성에 대한 검토
|
안창수
|
6~179
|
1
|
7 |
西浦 金萬重의 산문 세계
|
심경호
|
7~215
|
3
|
8 |
困知子 金岳柱의 文學硏究
|
권태을
|
8~258
|
1
|
9 |
김기림의 ‘과학으로서의 시학’
|
오세영
|
9~293
|
3
|
10 |
가람의 언어 의식과 시어 선택-《가람시조집》을 중심으로 -
|
백수인
|
10~312
|
1
|
11 |
디지털시대와 한국소설
|
오양호
|
11~355
|
0
|
12 |
제3세계문학론과 탈식민화의 과제- 리얼리즘론의 정초 과정을 중심으로-
|
이상갑
|
12~381
|
9
|
13 |
해석학에 대한 영향과 불안
|
이기철
|
13~405
|
0
|
14 |
우언 글쓰기의 언어관과 명실론
|
윤주필
|
14~432
|
7
|
15 |
다매체 시대의 독서에 대하여
|
곽재용
|
15~449
|
1
|
16 |
설화의 역사성과 관음사 연기설화의 재인식
|
임재해
|
16~475
|
5
|
17 |
충남 당진군 송악면 기지시리 민요 가창자 박영규 연구
|
김헌선
|
17~494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