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배제와 경쟁 - 동·서독의 문학
|
권세훈
|
1~20
|
0
|
2 |
달리 쓰기의 문화의미론 - 페터 바이스의 카프카
|
문광훈
|
2~45
|
1
|
3 |
크리스타 볼푸의 초기작품에 내재된 모녀관계
|
박정희
|
3~62
|
0
|
4 |
매체의 관점에서 본 카프카의 텍스트 - 『변신』의 시간성, 공간성
|
배정희
|
4~78
|
2
|
5 |
독일 생태문학의 발전 과정
|
사순옥
|
5~96
|
2
|
6 |
분단 독일 문화계의 문명 비판과 평화 운동 - 1980년대 동독 문화계의 시대인식을 중심으로
|
서정일
|
6~112
|
0
|
7 |
카프카 소설의 영화화 - 오손 웰즈이 <심판>
|
송희영
|
7~128
|
1
|
8 |
하이퍼텍스트와 매체미학
|
유봉근
|
8~144
|
1
|
9 |
잃어버린 유년의 꿈에 대한 수집과 창작을 통한 회상 - 테오도르 슈토름의 『임멘호 Immensee』(1850) 연구
|
이노은
|
9~174
|
3
|
10 |
독일 속담과 괴테의 『파우스트』비교
|
이동용
|
10~206
|
0
|
11 |
동화적 환상세계에 나타난 역사의식 - 아힘 폰 아르님의 노벨레 『이집트의 이사벨라』의 경우
|
장영은
|
11~233
|
1
|
12 |
현대성'에 대한 자기비판과 성찰 - 보토 슈트라우스의 『커플, 행인들』에 형상화된 '주체의 해체'를 중심으로
|
정윤희
|
12~262
|
2
|
13 |
이미지 기억의 해방적 힘 - 프로이트, 초현실주의 그리고 페터 바이스
|
정항균
|
13~298
|
1
|
14 |
다다이즘과 추상적 해체예술의 이미지
|
피종호
|
14~314
|
1
|
15 |
엔첸스페르거와 미디어 - 『슈피겔 Spiegel』을 중심으로
|
김경란
|
15~332
|
0
|
16 |
"기쁨의 집" - 문화상호적관점에서 본 릴케의 예술과 자연
|
이영남
|
16~349
|
0
|
17 |
Robert Mullers Roman Tropen
|
KaiKohler
|
17~363
|
0
|
18 |
In Platons Hohle? Aporien der neueren Medientheorie
|
RalfSchnell
|
18~394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