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카프카와 시
|
편영수
|
5~35
|
0
|
2 |
카프카 작품 속 ‘웃음의 위치’ - <성>을 중심으로
|
목승숙
|
37~58
|
0
|
3 |
Authentizität als Konstrukt - Franz Kafkas <Brief an den Vater> im Kontext moderner Autobiographie-Theorie
|
크리스티안 바이어
|
59~84
|
0
|
4 |
루드비히 티크의 후기 소설 <삶의 사치>에 나타난 낭만주의 남성성에 대한 자기비판과 사랑 담론
|
오은교
|
85~101
|
0
|
5 |
시각장애인이 그린 얼굴 없는 초상화 - W. G. 제발트의 <이민자들>에 나타난 ‘시선’과 ‘얼굴’ 연구
|
최은아
|
103~125
|
0
|
6 |
몸 담론과 마리오네트의 글쓰기 - 다와다 요코의 「그림 없는 그림 수수께끼」 연구
|
정항균
|
127~157
|
0
|
7 |
르네 폴레쉬의 하이브리드 연극미학 - 연극텍스트 <www-slums>를 중심으로
|
임유영
|
159~183
|
0
|
8 |
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문학적 서사의 확장과 매체융합적 글쓰기의 가능성 - 카프카의 ‘오드라데크’의 웹서사화
|
구연정
|
185~202
|
0
|
9 |
[서평] 문학의 운명 - 벤자민 발린트의 <카프카의 마지막 심판>에 관하여
|
김태환
|
205~208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