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대중문화와 기독교교육: 지식기반사회에서지식교육의 방향에 관한 연구
|
김기숙
|
7~37
|
2
|
2 |
기독교교육의 대중문화 다루기: 넬슨(C. Ellis Nelson)의 관점에서
|
정정미
|
39~60
|
1
|
3 |
새로운 의식을 지향하는 신앙공동체의 교육에 관한 연구
|
이숙종
|
61~87
|
1
|
4 |
파커 팔머의 교육사상에 대한 고찰
|
유명복
|
89~108
|
9
|
5 |
다중 학습공동체에서의 기독교 수업
|
김은정
|
109~132
|
0
|
6 |
앎의 패러다임 전환과 기독교학교 교육과정에의 함의
|
현은수
|
133~156
|
0
|
7 |
교회 장애인 부서 교사들의 의식에 대한 조사
|
김요섭
|
157~180
|
4
|
8 |
코메니우스의 유아와 어머니 이해의 대상관계 이론적 재해석
|
김선아
|
181~205
|
5
|
9 |
청소년의 인터넷 이용실태와 부모- 자녀간의 의사소통실태 상관관계 분석
|
박인곤
|
207~230
|
6
|
10 |
수발보험제도 분석과 교회교육에의 활용방안 연구
|
이준우
|
231~258
|
0
|
11 |
'오직 행함으로(Sola Opera)'의 신앙관에 관한 역사적 고찰: 루터, 선교의 세기,한국 기독교의 모델을 중심으로
|
김동주
|
259~281
|
3
|
12 |
생존 모티프로 마태복음 읽기
|
서용원
|
283~308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