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Genetic Mutation of 5,10-Methylenetetrahydrofolate Reductase in the Brain Neoplasms
|
안정용
|
183~188
|
0
|
2 |
두개인두종: 재발 관계 인자
|
이성
|
189~195
|
1
|
3 |
요추 분리증에서 축추경 나사와 Universal Hooks을 이용한 협부 결손 직접 재건술
|
박춘근
|
196~199
|
0
|
4 |
요추간반 탈출증으로 인한 마미총 증후군
|
신동아
|
200~203
|
1
|
5 |
자발성 피각부 출혈의 혈종증대에 대한 위험인자
|
김은승
|
204~210
|
0
|
6 |
두개강 내-외 외상성 동맥손상에 대한 치료
|
피용훈
|
211~216
|
0
|
7 |
상동기 제거술을 통한 상부 기저동맥 동맥류 수술
|
김석원
|
217~221
|
0
|
8 |
미세한 외상성 뇌출혈 진단에 있어 자기공명촬영의 T2 강조영상의 유용성
|
김만수
|
222~225
|
0
|
9 |
편측 안면경련 환자에서 미세혈관감압술 후 두개절제부위의 재건
|
박정윤
|
226~230
|
0
|
10 |
두개강 내 거대동맥류의 장기추적성적
|
김명수
|
231~238
|
0
|
11 |
Compressed Spectral Array 감시하의 쥐의 중뇌동맥 일시적 폐쇄로 유발된 국소적 뇌허혈에 대한 Thiopental, Propofol, Dactrolene의 뇌보호효과의 비교
|
김종훈
|
237~245
|
0
|
12 |
교감신경과 관련없는 신경병증성 통증 백서 모델에서 MK-801과 Naloxone의 효과
|
윤승환
|
246~255
|
0
|
13 |
심보성 교수(1924~2001)를 기리며
|
김현집
|
256~258
|
0
|
14 |
Early Treatment of Pseudo-Sac Formation in a Thrombotic Cavity at the Aneurysm Rupture Site
|
최율
|
259~263
|
0
|
15 |
전정신경 절단술에 의한 말초성 현기증 치료
|
전세준
|
264~267
|
0
|
16 |
Falx Syndrome을 보인 대뇌반구간 만성 뇌경막하혈종
|
이국진
|
268~271
|
1
|
17 |
대후두공 복측 수막종
|
김진욱
|
272~274
|
0
|
18 |
단발성 경막 형질 세포종
|
이경수
|
275~288
|
0
|
19 |
소뇌충부에 발생한 신경절교종
|
신동아
|
283~285
|
0
|
20 |
뇌간에 발생한 신경절교종
|
신명주
|
289~282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