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중국 조선족 학생들의 모국어 사용에 대한 공시적 연구
|
강희숙
|
1~24
|
4
|
2 |
Mensch oder Maschine? (II): Das Suffix -er im Wortschatz des Technikers
|
NikolausGross
|
25~60
|
0
|
3 |
화제의 변화에 따른 신문 텍스트의 가변성
|
김경숙
|
61~88
|
2
|
4 |
Re-examining the Role of Culture in English Education
|
김혜련
|
89~114
|
1
|
5 |
Naming of Brands Proven Successful in Korea: A Linguistic Approach
|
JeonpyoNoh?JinheeSuh
|
115~136
|
5
|
6 |
From Unknown to Unspeakable: ‘Mwe’ as a Stance Marker in Korean Conversation
|
Kyung-HeeSuh
|
137~160
|
4
|
7 |
한국어와 영어 사이버 커뮤니케이션에서 남성과 여성 간의 성(gender) 역학
|
송경숙
|
161~186
|
13
|
8 |
사회언어학에서 본 국어 순화의 문제점
|
이정복
|
187~214
|
15
|
9 |
한국어와 영어에 나타난 통신언어의 특징적 양상 비교
|
이진성
|
215~238
|
12
|
10 |
日本人とのコミュニケ?ション
|
임영철
|
239~252
|
3
|
11 |
Korean Children’s Socialization and English Learning: A Perspective of Language Socialization
|
YoungCheolChung
|
253~276
|
0
|
12 |
익명성을 표현하는 영어 이니셜: 사용실태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분석
|
채서영
|
277~300
|
6
|
13 |
설문 조사를 통해서 본 통신 언어 사용에 대한 연구
|
한성일
|
301~322
|
10
|
14 |
A Study of English Production in the Context of Community Support
|
SunhaeHwang
|
323~344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