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라신의 이피게네이아에 나타난 신화의 변형
|
강희석
|
1~24
|
0
|
2 |
영어와 프랑스어의 문장구조에 대한해석
|
김경석
|
25~44
|
0
|
3 |
프랑스 사이버언어의 유형과 표기상의 특징
|
김선미
|
45~70
|
1
|
4 |
한국 미디어 문화에서 샹송 현황-radio방송및TV방송,인터넷미디어를중심으로
|
김정탁
|
71~94
|
0
|
5 |
문둥이에게 키스Le Baiser au Lpreux에 나타난 통과 제의적 이미지
|
김희명
|
95~118
|
0
|
6 |
현대 프랑스 사회의 가족형태의 변화나 홀로 가정을 중심으로
|
박선아
|
119~138
|
0
|
7 |
프랑스 방언 연구
|
선효숙
|
139~176
|
0
|
8 |
<현대성>과 악
|
송태효
|
177~204
|
0
|
9 |
장 지오노의 세상의 노래에 나타난 통과제의적 행로와 시공간의 구조
|
안영현
|
205~228
|
4
|
10 |
소설과 영화 희망에 나타난 작품의 형식과 각색영화의 창작적 사고
|
오세정
|
229~254
|
1
|
11 |
프랑스어 이유 표현- parce que, puisque, car, comme causal, à cause de -
|
이승권
|
255~278
|
1
|
12 |
마르그리트 뒤라스 작품에 나타난 유대인 -집단적고통과개인적고통의형상
|
이지순
|
279~300
|
1
|
13 |
Prédicats ponctuels et leur compatibilité avec des adverbiaux de durée
|
임정혜
|
301~320
|
3
|
14 |
안 에베르의 소설 카무라스카Kamouraska의 단절과 향수의 과거
|
정상현
|
321~338
|
3
|
15 |
무의식의 수사학 Ⅲ -스탕달의 ꡔ적과 흑ꡕ에 나타난 이름의 상징성을 중심으로
|
정장진
|
339~366
|
0
|
16 |
디드로 여성관 연구 - 사랑과 성, 중심으로
|
주미사
|
367~410
|
0
|
17 |
시와 음악의 관련성을 바라보는 인지주의의 관점 -말라르메의시와라벨의음악분석
|
최인령
|
411~436
|
7
|
18 |
19세기 메타언어적 담론을 통해 본 퀘벡프랑스어의 정체성 추구 노력 Ⅱ
|
홍미선
|
437~462
|
1
|
19 |
연극, 놀이와 이미지 창조 : 의 가상현실
|
홍성희
|
463~494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