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중앙아시아 고려인 경제사회문화 공동체의 형성과 발전우즈베키스탄 타쉬켄트 주의 고려인 콜호즈들
|
임영상
|
3~44
|
3
|
2 |
우즈베키스탄 고려인 경제공동체의 형성과 발전과정의 재조명
|
황영삼
|
45~82
|
2
|
3 |
중앙아시아 한인 사회와 교육: 1930-40년대를 중심으로
|
방일권
|
83~112
|
5
|
4 |
1930년대 중반~1980년대 중반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언론, 공연, 문학 작품에 나타난 문화적 지향성 연구
|
이혜승
|
113~142
|
3
|
5 |
三國時期 都城史 硏究의 현황과 과제
|
여호규
|
143~188
|
16
|
6 |
신라 始祖廟의 성립과 그 祭祀의 성격
|
김창석
|
189~222
|
10
|
7 |
地圖와 記憶 -17세기 전후 동아시아 삼국의 琉球 인식
|
배우성
|
223~254
|
5
|
8 |
4월참변 당시 희생된 한인애국지사들-최재형, 김이직, 엄주필, 황경섭
|
반병률
|
255~284
|
4
|
9 |
서양인이 바라본 한국의 정치
|
이수기
|
285~326
|
5
|
10 |
《奉使》《游集》及等的考辨
|
이영구
|
327~338
|
0
|
11 |
The Hope and the Frustration of the Korean South-North Relations 1973-74
|
노명환
|
339~366
|
1
|
12 |
헤르만 산더의 한국 기행(1906~07) 목적과 조사방법
|
조관연
|
367~400
|
1
|
13 |
일본의 중앙아시아 원조외교와 다자주의
|
박상남
|
401~426
|
0
|
14 |
우크라이나 고려인협회의 산 역사, 심 콘스탄친
|
김석원
|
427~458
|
6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