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물관리기본법의 제정 필요성과 방향 및 그 내용
|
소병천
|
1~30
|
13
|
2 |
하천관리조직의 제도적 정비방안
|
조태제
|
2~56
|
2
|
3 |
효율적 수자원 관리와 수리권 거래제도 도입의 전제 조건
|
김정인
|
3~78
|
8
|
4 |
댐주변지역지원의 현황과 법적 문제
|
손진상
|
4~124
|
0
|
5 |
수질오염총량관리제와 국토이용관계법령의 조화방안
|
송동수
|
5~152
|
3
|
6 |
水質改善負擔金의 法的 問題
|
채우석
|
6~176
|
0
|
7 |
Verkehrsl?rmschutz in der Bauleitplanung
|
Hans-PeterMichler
|
7~190
|
0
|
8 |
법경제학적 연구에 기초한 현행 경제적 유인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
|
강운산
|
8~212
|
2
|
9 |
공용관련하자
|
김창조
|
9~246
|
1
|
10 |
사전환경성검토 협의제도의 효율성 제고
|
김홍균
|
10~270
|
5
|
11 |
원자력행정에 있어서 재량의 절차적 통제
|
박효근
|
11~292
|
0
|
12 |
環境汚染과 民事責任
|
이승우
|
12~314
|
0
|
13 |
미국의 규제수용법리의 내용과 환경보호와의 관계
|
이창환
|
13~338
|
0
|
14 |
環境侵害被害의 私法上 救濟法理
|
전경운
|
14~390
|
31
|
15 |
기업 구조조정에서의 환경문제에 대한 대응
|
정서용
|
15~408
|
0
|
16 |
환경오염피해에 대한 민사책임
|
정완
|
16~430
|
6
|
17 |
환경보호와 법치국가 원리의 충돌
|
정훈
|
17~450
|
8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