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조선 후기 蘭亭會 계승과 「蘭亭記」 수용의 특징
|
정하정
|
5~38
|
0
|
2 |
조지훈 육필시고 『지훈시초(芝薰詩鈔)』 연구
|
김종훈
|
39~66
|
0
|
3 |
해방기 『강원일보』 문예면 연구
|
이미정
|
67~94
|
0
|
4 |
북한 언어정책의 비교·분석과 그 서술 변화에 대하여: 『조선로동당정책사(언어부문)』(1973)과 『조선로동당언어정책사』(2005)를 중심으로
|
이상혁
|
95~124
|
0
|
5 |
개인의 언어습관에 따른 시간벌기 담화표지의 사용 양상 연구
|
전영옥
|
125~154
|
0
|
6 |
대학생 에세이 담화에 나타난 ‘-게 되다’ 구문의 특성
|
김혜령
|
155~176
|
0
|
7 |
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기관의 초급 한국어 교재 분석: 「제대로 한국어 1, 2」를 중심으로
|
오명희
|
177~214
|
0
|
8 |
최신기술 활용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불안과 인식 연구
|
오선경
|
215~240
|
0
|
9 |
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의 성과와 과제
|
장혜진
|
241~270
|
0
|
10 |
브랜드에 대한 인식을 강화해주는 이야기 활용 전략: KCC건설의 아파트 브랜드 <스위첸> 광고 캠페인을 중심으로
|
김정우
|
271~292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