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카리스마의 집중과 확산, 그 기로에서 - 가톨릭 중등 종교교과서 문제를 중심으로 -
|
김남희
|
1~20
|
0
|
2 |
개신교 종립학교에서의 종교학 교과서와 종교평화적 성찰
|
손원영
|
21~40
|
0
|
3 |
불교 종립 중등학교의 종교 교과서 개발 : 제도와 현실, 그 만남과 평행의 역사
|
김은영
|
41~54
|
0
|
4 |
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죽음 이해와 교육적 함의
|
문선영
|
55~71
|
0
|
5 |
죽음과 트라우마: 트라우마 심리학에서 얻은 죽음교육을 위한 제언
|
이희철
|
73~85
|
0
|
6 |
현행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나타난 죽음교육 양상 고찰 -죽음모티프 서사 갈래의 제재를 중심으로-
|
전한성
|
85~108
|
0
|
7 |
2015 개정 종교학 교육과정과 개신교 통일교육
|
류삼준
|
109~126
|
0
|
8 |
나옹혜근의 조선불교계 위상과 법맥
|
이철헌
|
127~144
|
0
|
9 |
교양교육으로서 원불교의 종교교육 - 원광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-
|
고시용
|
145~170
|
0
|
10 |
외상 후 성장 관점에서 본 광화문글판과 보왕삼매론(寶王三昧論)의 상담적 함의
|
이영림
|
171~184
|
0
|
11 |
성공적인 불교문화 콘텐츠 확산 전략
|
오정열
|
185~199
|
0
|
12 |
‘나 답게’산다는 것에 대한 불교적 이해
|
이필원
|
201~214
|
0
|
13 |
현대 생사학을 위한 불교 생사관의 제언 -죽음의 납득에서 보리심 각성의 생사학으로
|
양정연
|
215~228
|
0
|
14 |
불교의 사회 영향력 제고를 위한 한국 종교지형 내의 불교지형
|
권진영
|
229~245
|
0
|
15 |
종교적 사유와 에로스(eros) 개념 – 인간 존재의 유한성을 중심으로 -
|
김영철
|
245~254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