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刑法解釋學的 觀點에서 應報論의 再照明
|
류전철
|
1~22
|
2
|
2 |
思想犯과 관련된 現行法規의 檢討
|
손동권
|
2~52
|
3
|
3 |
원인에 있어서의 자유로운 행위의 가벌적 근거
|
오상원
|
3~78
|
3
|
4 |
형법상 과실의 구조
|
문채규
|
4~100
|
8
|
5 |
부진정부작위범의 한국적 해석으로서 단일정범개념
|
김성룡
|
5~136
|
23
|
6 |
부작위와 공범
|
박미숙
|
6~162
|
12
|
7 |
합동범에 관한 연구 - 독일형법상 집단절도죄와 비교법적 관점에서 -
|
김종구
|
7~194
|
5
|
8 |
한국과 독일司法上의 원상회복제도-가해자-피해자-화해제도를 중심으로-
|
원혜욱
|
8~220
|
8
|
9 |
자살관여행위와 정범·공범이론의 관계
|
이정원
|
9~242
|
2
|
10 |
사실적시와 가치판단의 한계사례
|
이진국
|
10~264
|
5
|
11 |
위탁금전과 형법상 소유권개념
|
허일태
|
11~286
|
17
|
12 |
검사의 불기소처분에 대한 불복제도 개선방안
|
심재무
|
12~308
|
9
|
13 |
情報化社會의 새로운 搜査기법과 개인의 情報保護
|
안경옥
|
13~334
|
18
|
14 |
자수의 소송법적 효과
|
최병각
|
14~364
|
6
|
15 |
資金洗濯의 刑法的 規制에 관한 問題點과 展望
|
김성규
|
15~388
|
2
|
16 |
經濟犯罪의 槪念과 그 機能의 比較的 分析과 檢討
|
윤상민
|
16~420
|
8
|
17 |
외국인범죄의 실태와 대책
|
서거석
|
17~450
|
17
|
18 |
安樂死와 立法政策
|
윤종행
|
18~478
|
14
|
19 |
범죄의 심각성에 대한 한·미간 인식비교: 법사회학적 연구
|
박철현
|
19~504
|
5
|
20 |
방범경찰의 피해자 보호방안
|
노호래
|
20~534
|
1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