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당뇨병과 말기신부전증에서의 후기당화산물의 생산과 그 역할
|
이희발
|
1~3
|
0
|
2 |
Streptozotocin 당뇨 백서의 복막내 최종당화산물의 형성
|
박미옥
|
4~8
|
0
|
3 |
백서 잔여 신장에서 TGF-β 수용체 발현에 관한 연구
|
강명재
|
9~15
|
0
|
4 |
양측 요로 폐쇄 흰쥐에서 신장 ANP 계 활성 변화
|
박종욱
|
16~25
|
0
|
5 |
신장 혈전성 미세혈관병증 모델에서 미세혈관 회복과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의 발현
|
김윤구
|
26~35
|
0
|
6 |
FK506 처리 흰쥐에서 신장 및 혈관 조직 산화질소 함량 감소
|
정권
|
36~42
|
0
|
7 |
Adriamycin 투여가 흰쥐 신사구체 기저막의 형태적 변화와 Laminin 분포에 미치는 영향
|
정호삼
|
43~50
|
0
|
8 |
혈액투석 환자에서 투석 전ㆍ후의 혈장 ANP치와 cGMP치를 이용한 건체중의 평가
|
엄현주
|
51~58
|
1
|
9 |
Uteroglobin Exon 1의 5' Untranslated Region(UTR)의 유전자 다형성이 IgA 신병증의 진행에 미치는 영향
|
오윤규
|
59~66
|
0
|
10 |
혈액투석 환자에서 Erythropoietin의 피하주사와 저용량 Androgen의 병용투여가 빈혈과 영양지표에 미치는 영향
|
서정철
|
67~74
|
1
|
11 |
소아에서 혈청 Cystatin C의 정상 범위
|
한혜원
|
75~79
|
1
|
12 |
신장 이식 후 만성 B형 간염 치료로서 Lamivudine의 효과와 안전성
|
구영훈
|
80~86
|
0
|
13 |
Break-in Period동안 시행한 혈액 투석이 지속성 외래 복막 투석 환자의 잔여 신기능에 미치는 영향
|
박진아
|
87~93
|
1
|
14 |
원발성 일측 방광요관역류 교정술 후 반대측 요관에서의 역류
|
한웅규
|
94~98
|
0
|
15 |
어린이 말기 신부전 환자에서의 혈중 Homocystein에 관한 연구
|
강희경
|
99~105
|
1
|
16 |
척추 손산환자에서 단백뇨의 유발 요인에 관한 연구
|
김진수
|
106~110
|
0
|
17 |
경피적 신생검 494예에 대한 임강 및 병리학적 고찰
|
이윤정
|
111~119
|
2
|
18 |
Doxylamine Succinate에 의해 발생한 횡문근 융해증에 대한 고찰
|
이소영
|
120~126
|
1
|
19 |
혈액투석 중인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발생한 Revwesible Posterior Leukoencephalpathy Syndrome
|
구영선
|
127~131
|
1
|
20 |
신증후성 출혈열 환자에서 동반된 심근염 1예
|
장근영
|
132~136
|
1
|
21 |
신장병변을 동반한 결절성 경화증 2예
|
문성훈
|
137~142
|
2
|
22 |
Nephrotic Syndrome을 동반한 Down Syndrome 환자에서 Streroid 투여 중 발생한 Reversible Posterio Leukoencephalopthy Syndrome 1예
|
이지은
|
143~146
|
0
|
23 |
만성신부전과 B형 간염에 의한 간경화가 동반되었던 환자에서의 간-신장 동시 이식 2예
|
김유미
|
147~153
|
0
|
24 |
혈액 투석 환자에서 발생한 전이성 폐 석회화증 1예
|
김은수
|
154~160
|
0
|
25 |
혈액 투석중인 상염색체 우성 다낭성 신질환에서 발생된 요흉 1예
|
소미진
|
161~165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