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형태계측학적 방법을 이용한 신사구체 구조적 변화의 정량화
|
이현순
|
1~873
|
0
|
2 |
고혈당증과 신적출 후 신증의 실험적 흰쥐 모형에서신사구체의 형태계측학적 연구-사구체 경화증의 발달 과정과 기전에 관한 연구-
|
심영웅
|
2~888
|
0
|
3 |
젊은 한국 남성의 사구체질환의 빈도와 임상 양상
|
이상호
|
3~895
|
0
|
4 |
배양된 인 근위세뇨관 상피세포에서 고농도의 단백질이TGF-β와 Fas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
|
서지아
|
4~904
|
0
|
5 |
최근 5년간 발생한 지역사회 획득성 급성 신우신염 환자의임상적 양상과 원인균 및 항생제 감수성에 대한 고찰
|
이진서
|
5~913
|
3
|
6 |
그라목손 (Paraquat) 중독환자에서 혈액여과투석 (Hemodiafilteration) 방법을 중심으로 한체외 배설치료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
|
윤성철
|
6~923
|
2
|
7 |
심장폐소생술 후 생존한 환자들에서의급성신부전의 발생과 임상 경과
|
김현정
|
7~931
|
1
|
8 |
혈액투석 중인 환자에서 발생한투석-연관성 심낭염의 임상적 고찰
|
이재명
|
8~937
|
0
|
9 |
말기신부전 환자에서 척골동맥-척측피정맥동정맥루의 임상적 의의
|
김지혜
|
9~942
|
0
|
10 |
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환자의 영양상태에 영향을 미치는인자들에 대한 단면적 연구
|
강이화
|
10~955
|
1
|
11 |
Transforming Growth Factor-β1이 복막중피세포의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-1발현에 미치는 영향
|
정해혁
|
11~965
|
0
|
12 |
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환자에서좌심실비대에 관여하는 요인
|
김동기
|
12~974
|
1
|
13 |
중재적 방사선과 전문의와 혈관외과 전문의가 함께 시술한 Tunneled Cuffed Hemodialysis Catheter의내경정맥 삽입술
|
김양호
|
13~981
|
0
|
14 |
말기 신부전으로 진행된 다낭성 신증 환자에서신대체 요법간의 비교
|
최훈영
|
14~989
|
0
|
15 |
한국인 신이식 환자에서 Interleukin-10과 Interferon-γ의 유전자 다형성이 이식신의임상경과에 미치는 영향
|
박성훈
|
15~999
|
0
|
16 |
중증 급성 신부전의 원인이 되었던급성 국소성 세균성 신염 1예
|
윤정민
|
16~1005
|
0
|
17 |
진성다혈구증이 병발된 IgA 신증 1예
|
김지혜
|
17~1010
|
1
|
18 |
제1형 신경 섬유종증 (Neurofibromatosis Type 1)에병합된 미세 변화성 신증후군 1예
|
이정욱
|
18~1014
|
0
|
19 |
α-galactosidase A 유전자 분석으로 확인된Fabry 병 1예
|
진범식
|
19~1019
|
0
|
20 |
급성 신부전이 합병된 심한 횡문근융해증을 유발한Doxylamine 중독증 1예
|
김성열
|
20~1025
|
0
|
21 |
양측의 비폐쇄성 수신증과 요관 확장이 동반된 선천성 신성요붕증 1예
|
장영이
|
21~1031
|
0
|
22 |
신장이식 후 발생한 급속진행성 사구체신염 1예
|
배영덕
|
22~1036
|
0
|
23 |
신이식 환자에서 발생한 결핵에 의한 혈구탐식 증후군(Hemophagocytic Syndrome) 1예
|
유수은
|
23~1042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