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학교에서 시행한 집단 요검사상 이상뇨 소견을 보인환아들의 신조직검사 결과 분석
|
이영목
|
1~355
|
2
|
2 |
어린이의 신증후군
|
최용
|
2~361
|
0
|
3 |
소아의 특발성 신증후군에서 만성 사이클로스포린 신독성
|
정현주
|
3~366
|
0
|
4 |
한국인의 신 이식 후 암 발생빈도
|
김명재
|
4~374
|
0
|
5 |
Chlorpropamide 처리 흰쥐 신장에서Aquaporin-2 단백 발현 감소
|
김수완
|
5~381
|
0
|
6 |
Puromycin Aminonucleoside 신증 백서에서의Nephrin 발현에 대한 연구
|
이영기
|
6~390
|
0
|
7 |
복막염을 유발한 쥐의 복막에서 혈관내피 성장인자의 발현
|
채은영
|
7~399
|
0
|
8 |
‘정상’ 성인에서 단백뇨의 유병율과 이환율
|
오지은
|
8~406
|
2
|
9 |
IgA 신증에서의 요중 IL-6와 TGF-β 분비와AII 수용체 차단제의 효과
|
이승준
|
9~413
|
1
|
10 |
신이식 환자의 말초혈액 림프구에서 Perforin,Fas-ligand와 Granzyme B의 발현
|
신규태
|
10~422
|
0
|
11 |
신 이식 환자에서 B형과 C형 간염바이러스 감염 환자의 15년간 추적 조사
|
방병기
|
11~434
|
2
|
12 |
이식 후 12개월이 지난 신 이식 환자에서Cyclosporine Trough Level과 2-hour PostdoseBlood Level 사이의 상관 관계 및 적정 C2 Level
|
김정미
|
12~442
|
1
|
13 |
조혈모세포 이식 후 발생한 급성 신부전의 원인과급성 신부전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
|
김세중
|
13~449
|
1
|
14 |
단계적 초여과법과 고나트륨 투석액이혈액투석 중의 부작용 감소에 미치는 효과
|
김정아
|
14~459
|
5
|
15 |
운동유발 횡문근융해증에 의한 급성신부전과 전해질 장애
|
이상호
|
15~468
|
3
|
16 |
저구연산뇨증에 의한 신결석과 신석회화증을동반한 원위세관 산증 1예
|
신동일
|
16~474
|
0
|
17 |
Gitelman씨 증후군으로 오진된Pseudo-Bartter씨 증후군 1예
|
이동규
|
17~480
|
0
|
18 |
장기 혈액투석 환자에서 경막하혈종과병발한 알루미늄 중독에 의한 급성뇌증 1예
|
박혜원
|
18~486
|
0
|
19 |
투석 중인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저분자 헤파린 사용 후발생한 후복막강 혈종 2예
|
이영기
|
19~493
|
3
|
20 |
유지 혈액투석 환자에서 발생한 자발성 혈흉 1예
|
최지훈
|
20~498
|
1
|
21 |
자발성 신동맥 박리에 의한 신경색 1예
|
박선희
|
21~502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