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호모시스테인 대사와고호모시스테인 혈증의 임상적 의의
|
윤견일
|
1~5
|
0
|
2 |
혈액투석 중인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엽산 투여 후고호모시스테인 혈증의 반응
|
이승일
|
2~11
|
0
|
3 |
2,3,7,8-tetrachlorodibenzo-p-dioxin이 배양 사구체혈관간세포와 세뇨관 상피세포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
|
김은나
|
3~19
|
0
|
4 |
Nε-(Carboxymethyl)Lysine-우혈청 알부민이 흰쥐사구체 혈관간세포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
|
임현진
|
4~28
|
0
|
5 |
발생 중인 흰쥐에서 Losartan 투여 후 콩팥동맥계통내 Renin, α-smooth Muscle Actin 및 Aquaporin-1 발현양상의 변화
|
임정미
|
5~38
|
0
|
6 |
한국인 ADPKD 환자에서의 TGF-β1 Gene LeaderSequence 유전자 다형성의 분포 및 임상경과와의 연관성
|
이중건
|
6~46
|
0
|
7 |
간경변증 환자에서의 혈장 D-lactate 농도와 산염기 장애
|
한상웅
|
7~54
|
1
|
8 |
Atrial Natriuretic Peptide 유사체에 의한무마취 가토 신장기능의 변화
|
최병수
|
8~66
|
0
|
9 |
복막투석 환자에서 항결핵제의 약물역동학
|
김기원
|
9~73
|
0
|
10 |
장기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환자에서복막기능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
|
한승혁
|
10~85
|
1
|
11 |
혈액투석 중 채취한 검체를 이용한Equilibrated Kt/V를 예측하는 방법
|
이종수
|
11~92
|
1
|
12 |
지속적 신대체요법(Continuous Renal ReplacementTherapy)을 시행 받은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에 대한 연구
|
강영선
|
12~101
|
4
|
13 |
중증의 좌심실 수축 기능장애가 동반된 말기 신부전증환자에서 CAPD 후의 임상경과
|
박진영
|
13~107
|
0
|
14 |
말기 신부전 환자에서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으로 외과적부갑상선 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의 임상적 경과
|
한승혁
|
14~116
|
2
|
15 |
신이식 환자에서 급성 거부반응의 예방에 있어 Mycophenolate Mofetil(MMF)과 Azathioprine의 비교
|
허동
|
15~122
|
0
|
16 |
흰쥐에서 카페인이 신장 Atrial Natriuretic Peptide 및산화질소계에 미치는 영향
|
하정훈
|
16~128
|
0
|
17 |
혈액투석 환자의 통상 칼로리 및 단백질 섭취량이 18개월 후의 영양상태-알부민 및인체계측지표를 중심으로-에 미치는 영향
|
이현택
|
17~136
|
1
|
18 |
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-1(MCP-1) 조절부위에 따른 유전자다형성이 MCP-1 발현 및낭창성 신염에 미치는 영향
|
김현리
|
18~144
|
1
|
19 |
간이식 후 발생한 급성 신부전의 임상상과 예후
|
김강석
|
19~151
|
1
|
20 |
IgA 신병증에서 혈청 면역글로불린 A의 유용성
|
김명성
|
20~157
|
1
|
21 |
혈액투석 남성 환자에서 발기부전
|
박정호
|
21~164
|
1
|
22 |
Central Venous Catheter RemovalDistress Syndrome 2예
|
김수희
|
22~170
|
0
|
23 |
염산(HCl)에 의한 고칼륨혈증 발생 1예
|
박주형
|
23~174
|
0
|
24 |
지속적 외래 복막투석 환자에서 카테터 제거 없이치유된 Comamonas Acidovorans 복막염 1예
|
박철구
|
24~177
|
1
|
25 |
POEMS 증후군에 동반된 사구체신염 1예
|
우택
|
25~184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