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고등학교 9종 중국어 교과서의 문화영역 분석
|
강선주
|
1~21
|
5
|
2 |
부사 ‘还’의 의미 분석
|
박건희
|
23~44
|
2
|
3 |
楊宏道의 用韻으로 본 랜덤확률통계와 산술통계 비교
|
樊笛
|
45~67
|
0
|
4 |
从汉语语气助词看出中国人的情绪
|
임소영
|
69~99
|
0
|
5 |
韓中成語結構의 異同
|
김대환
|
101~116
|
0
|
6 |
영화를 활용한 중국어 읽기 교육
|
박봉순
|
117~136
|
2
|
7 |
南京方言中的“A得一米”使用情况调查及分析
|
정성헌
|
137~149
|
0
|
8 |
商代 갑골문에 보이는 ‘邦’과 ‘封’의 문화적 내면
|
김경일
|
151~176
|
0
|
9 |
리카이푸(李开复)와 마윈(马云)의 기업가정신에 대한 연구 ―CSV 관점을 중심으로―
|
조대원
|
177~203
|
2
|
10 |
중국공산당 제18차전국대표대회와 중국의 경제발전 전략 전망
|
김용민
|
205~227
|
0
|
11 |
시진핑시대 중국 경제의 현안과 전망
|
박정수
|
229~249
|
1
|
12 |
중국소비자들의 제조지역효과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논문
|
문철주
|
251~274
|
0
|
13 |
淸末 開明專制論 新釋
|
김종윤
|
275~300
|
1
|
14 |
중국 노동시장 메커니즘 변화의 원인과 경제적 시사점 -신세대 농민공을 중심으로-
|
김상균
|
301~323
|
2
|
15 |
중국학생의 한국유학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-중국 산동, 광동, 연변지역을 중심으로-
|
김시용
|
325~345
|
14
|
16 |
“韩流”对当代中国的影响及启示
|
마효휘
|
347~357
|
0
|
17 |
唐代主要风水文献和重点理论
|
김혜정
|
359~378
|
2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