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Textual Features in EFL Writing: Comparing Two Differing Levels of Writing Proficiency
|
조영교
|
1~26
|
0
|
2 |
Interactional Effects of Feedback Type and Target Structure on Accuracy in L2 Writing
|
장성수
|
27~42
|
0
|
3 |
Two Types of Error Source in Performance by Korean Advanced English Learners: Conceptual Mismatch and Complex-rule Drivenness
|
김지희
|
43~66
|
0
|
4 |
Effects of Topic and Source Text on the Lexical Proficiency and Syntactic Complexity of High School Students’ Writing
|
김성애
|
67~88
|
0
|
5 |
Chinese ESL Writers’ Use of English Contrastive Markers
|
Kent Lee
|
89~110
|
0
|
6 |
Cross-Linguistic Influence on Third Language Acquisition of an Adolescent Multilingual Learner
|
박은정
|
111~126
|
0
|
7 |
Chinese University EFL Learners’ Perceptions of the GenderNeutral Singular “They” in English
|
Xiufeng Zhang
|
127~146
|
0
|
8 |
초등교사의 영어 수업 성찰 활동 분석
|
김현신
|
147~164
|
0
|
9 |
고등학교 영어교과서에 사용된 등위접속사 ‘and’의 문법적 및 의미적 분석: 응집장치로서의 기능을 중심으로
|
류미령
|
165~182
|
0
|
10 |
동화책을 활용한 균형적 언어지도법이 영어 부진학습자의 어휘와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
|
서근호
|
183~204
|
0
|
11 |
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영어교육관련 연구 동향 분석: 2000-2019년도까지 「영어교육연구」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
|
신유선
|
205~224
|
0
|
12 |
비대면 영어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: 대학생, 고등학생, 중학생 학습자 그룹별 차이검증
|
정희정
|
225~247
|
0
|
13 |
폐쇄형 SNS와 모바일 앱을 활용한 상호동료튜터링과 전문가튜터링의 학습 양상 및 만족도 차이 분석
|
최윤정
|
249~274
|
0
|
14 |
한국인 학습자들이 에세이에서 사용한 구어 담화표지어에 관한 연구
|
홍신철
|
275~290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