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한국어 시상 표현의 사용 양상 연구-‘-었었-’을 중심으로-
|
김한근
|
7~26
|
0
|
2 |
재난방송 언어의 문식성 연구
|
이지수
|
27~44
|
0
|
3 |
챗봇 빌더 기반의 <홍길동전> 챗봇 프로토타입 연구 개발-고전소설과 컴퓨팅 사고의 융합 교육을 중심으로-
|
김지우
|
47~81
|
0
|
4 |
사설시조에 나타난 욕의 양상과 의미
|
정종진
|
83~107
|
0
|
5 |
‘암송(暗誦)’의 독서론적 의미
|
천원석
|
109~133
|
0
|
6 |
실재와 상상, 번역된 ‘유토피아니즘’-1926년 동광 창간 기념 연재를 중심으로-
|
김미연
|
137~177
|
0
|
7 |
현진건의 백발 번역과 젠더/식민성에 대한 고민- 현진건의 초⋅중기작을 중심으로-
|
김유동
|
179~222
|
0
|
8 |
신동엽의 죽음의식과 금강 자살사건-신동엽 시 「강」과 산문「금강잡기」 : 신동엽 연구(8)-
|
김응교
|
223~245
|
0
|
9 |
일제시기 아동극의 교육연극 가능성 고찰-정인섭의 「어머니의 선물」을 중심으로-
|
손증상
|
247~275
|
0
|
10 |
조선일보「우리차지」에 나타난 유년 이미지 -인물 모티프를 중심으로-
|
이미정
|
277~303
|
0
|
11 |
현대시의 매체 수용과 디지털 상상력
|
이송희
|
305~326
|
0
|
12 |
보편적 출산문화 정립을 위한 전통 출산의례 이해와 현대적 변용 고찰
|
염원희
|
329~354
|
0
|
13 |
고전소설 영화화의 한 전범: 구술⋅문자⋅영상의 교호와 내러티브-영화<방자전>의 문학미디어 배치와 운용-
|
임형택
|
355~382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