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한국어 모어 화자의 문법 사용 양상 분석 -'았/었어서'를 중심으로-
|
김예나
|
1~23
|
0
|
2 |
<베테랑>과 리메이크 영화 <“大”人物> 분석을 통한 한・중 언어문화 비교 연구
|
문경희
|
25~59
|
0
|
3 |
인공지능(AI)을 활용한 한국어 듣기 교육 자료 제작 연구 -음성합성기술(TTS) 활용을 중심으로-
|
박진철
|
61~84
|
0
|
4 |
수업 연계 튜터링이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성취에 미치는 효과 연구 -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-
|
이민경
|
85~109
|
0
|
5 |
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비유창성 요소 사용 양상 연구 -한국어 모어 화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-
|
정진경
|
111~136
|
0
|
6 |
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토론 태도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
|
주월랑
|
137~159
|
0
|
7 |
한국어 숙달도 평가 도구로서 유럽공통참조기준 자가진단표의 타당도 검증 및 활용 방안
|
최재수
|
161~192
|
0
|
8 |
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서 매체를 활용한 상호작용 활성화 방안 -홍콩이공대학 <미디어 한국어> 과목 사례를 중심으로-
|
한혜민
|
193~226
|
0
|
9 |
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/ㅡ, ㅜ, ㅓ, ㅗ/ 발음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연구 -선행 자음에 따른 발음 실현 양상을 중심으로-
|
황미경
|
227~257
|
0
|
10 |
대조분석을 위한 말뭉치의 타당성 연구 -한중 대조분석을 중심으로-
|
황은하
|
259~286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