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정신지체 여학생을 위한 상황중심 성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
|
박용숙
|
1~28
|
11
|
2 |
한국소설에 나타난 장애인관 연구 - 191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를 중심으로-
|
김광순
|
29~50
|
4
|
3 |
지체(肢體)장애인에 대한 독일과 한국 대학생들의 태도에 관한 비교 연구
|
김기흥
|
51~76
|
7
|
4 |
일반학교 특수학급교사의 교욱세계 - 언저리에 있는 특수학급교사-
|
김병하
|
77~100
|
11
|
5 |
특수학교의 재량활동 실태 및 교사들의 요구에 관한 연구
|
김영미
|
101~126
|
5
|
6 |
자기점검 기법이 경도 정신지체 중학생의 수학 숙제하기에 미치는 효과
|
박미경
|
127~148
|
6
|
7 |
사립 특수학교 재정지원 확대방안
|
송기창
|
149~168
|
2
|
8 |
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발전방안에 대한 유아교사의 견해
|
유수옥
|
169~190
|
15
|
9 |
유아특수교육 기관에서의 장애유아 교육진단 및 교육과정 운영 실태 조사
|
이소현
|
191~212
|
22
|
10 |
통합교육 현장 비디오 시청활동이 예비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
|
이은주
|
213~238
|
13
|
11 |
선진국의 특수교육 재정제도 고찰 -미국, 덴마크, 오스트레일리아를 중심으로 -
|
정봉도
|
239~260
|
1
|
12 |
개념적특성과 정교화전략에 따른 정신지체아의 기억 회상 수준
|
조인수
|
261~286
|
3
|
13 |
재활에서의 컴퓨터 테크널러지의 활용
|
한성희
|
287~
|
2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