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Z의 기호학적 의미와 이데올로기 ―전후의 미디어 콘텐츠를 중심으로―
|
이유희
|
5~25
|
0
|
2 |
야구선수 장훈과 본명 호명 운동 ―1970~1980년대 재일조선인 잡지를 중심으로―
|
임상민
|
27~46
|
0
|
3 |
다다 난레이(多田南嶺) 작품에 보이는 직업에 관한 소고(小考) ―『가마쿠라 쇼게이 소데 닛키(鎌倉諸芸袖日記)』를 중심으로―
|
고영란
|
47~63
|
0
|
4 |
‘편의점 인간’ 과 ‘로스제네’ 표상 ―버블 붕괴 이후의 세대론을 통해 본 『편의점 인간』―
|
박유미
|
65~84
|
0
|
5 |
일본의 기독교에 대한 전래와 수용 양상 ―초기 기독교를 중심으로―
|
육근화
|
85~105
|
0
|
6 |
韓国人留学生に対するソーシャルサポートと 文化変容ストレスとの関係に関する研究 ―語学能力の媒介効果の検証―
|
이선영
|
107~121
|
0
|
7 |
三島由紀夫が残したもの ―小池真理子『欲望』論―
|
박수정
|
123~137
|
0
|
8 |
「パラレル・ワールド」と「穴」の水脈 ―安部公房『砂の女』とポール・オースター『闇の中の男』―
|
大場健司
|
139~164
|
0
|
9 |
円地文子「二世の縁 拾遺」における 性のモチーフ研究 ―性への執念の重層化をめぐって―
|
張亜璐
|
165~181
|
0
|
10 |
온라인 강의와 오프라인 강의의 만족도 및 효과 비교 ―일본문화예술콘텐츠 강의 사례를 중심으로―
|
강연화
|
183~200
|
0
|
11 |
流行歌の歌詞に見られる語彙の特徴と日本人の心情―年代別の変遷を中心に―
|
곽은심
|
201~218
|
0
|
12 |
婉曲表現としての「カナト思ウ」 ―「カト思ウ」と比較して―
|
國澤里美
|
219~238
|
0
|
13 |
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일본어 양순파열음에 관한 연구 ―발성위치와 발성화자를 중심으로―
|
김윤영
|
239~254
|
0
|
14 |
植民地期の国語教科書にみられる言語教育 ―『国定一』·『台湾一』·『朝一』の国語教科書の漢字教育を通して―
|
박영숙
|
255~271
|
0
|
15 |
問いかけ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機能に関する 日韓対照研究
|
志田原由美子
|
273~296
|
0
|
16 |
複合動詞「V+つく」に関する考察 ―意味拡張の程度と構成比および出現頻度の関係を中心に―
|
OTANI YUKA
|
297~313
|
0
|
17 |
음성언어와 문자언어 번역 비교 분석 ―한국어 연설문의 일본어 번역을 중심으로―
|
이선화
|
315~334
|
0
|
18 |
日本語教育のための日韓語対照研究 ―教育現場での活用を視野に入れて―
|
이충규
|
335~355
|
0
|
19 |
日韓一型アクセントに関する対照考察 ―都城方言と高城方言を対象に―
|
최현진
|
357~371
|
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