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2009 改定 漢文科 敎育課程의 내용 분석과 향후 과제-‘이해 영역의 내용 분석과 향후 과제’를 포함하여-
|
윤재민
|
5~70
|
4
|
2 |
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‘독해’ 영역의 분석과 향후 과제
|
강민구
|
71~93
|
2
|
3 |
2009 改定 漢文科 敎育課程 ‘읽기’ 領域의 內容 分析과 向後 課題
|
송병렬
|
95~124
|
1
|
4 |
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‘文化’ 영역의 內容 分析과 向後 課題
|
김왕규
|
125~144
|
9
|
5 |
2009 改定 漢文科 敎育課程 ‘漢字’ 領域의 內容 分析과 向後 課題
|
김경익
|
145~167
|
5
|
6 |
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‘어휘’ 영역의 내용 분석과 향후 과제
|
김성중
|
169~188
|
7
|
7 |
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‘문장’ 영역의 내용 분석과 향후 과제
|
이군선
|
189~223
|
0
|
8 |
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고등학교 한문의 독해 영역에 대하여
|
김영주
|
225~251
|
3
|
9 |
한국의 중등교육 환경과 한자문화에 대한 새로운 이해
|
윤채근
|
253~273
|
6
|
10 |
2009 개정 고등학교 ‘한문Ⅱ’ 교육과정에서 ‘한문학의 이해’ 영역 설정의 의미
|
김연수
|
275~303
|
2
|
11 |
한문 산문 교육의 방향과 교수ㆍ학습 모형
|
안세현
|
305~331
|
2
|
12 |
漢文敎科 Digital 敎科書 開發 背景과 必要性, 方向 摸索
|
허철
|
333~375
|
5
|
13 |
文獻에 보이는 新羅의 人名․官名․地名․國名의 語言文字學的 探索
|
한연석
|
377~399
|
1
|
14 |
尤庵 宋時烈의 女性認識 再考 -碑誌文, 祭文, 行狀 등을 중심으로-
|
윤경희
|
401~423
|
2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