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예술작품감상에 있어서 상상하기는 이렇게 이루어지는가
|
김영숙
|
29~46
|
0
|
2 |
미국의 최근사례로 본 인터넷을 활용한 미술교육
|
안혜리
|
293~312
|
1
|
3 |
Arts Propel 교수학습이론에 따른 한국불교미술문화감상의 창의성 프로그램 모형
|
이수경
|
~
|
2
|
4 |
미술교육의 새로운 과제
|
이은적
|
~
|
1
|
5 |
북한미술현황
|
전영우
|
~
|
0
|
6 |
현대조형예술에 나타난 우연에 관한 연구
|
김향숙
|
~
|
1
|
7 |
21세기 사회문화적 현상과 미술교육의 방향
|
박소영
|
~
|
3
|
8 |
단군초상화에 관한 연구
|
김정
|
~
|
2
|
9 |
포트폴리오법을 활용한 중학교 미술과 평가도고 개발
|
박은덕
|
~
|
0
|
10 |
황빈홍의 미술교육사상 연구
|
장준석
|
~
|
0
|
11 |
제6차와 7차의 미술과 교육과정 목표에 관한 연구
|
안금희
|
~
|
3
|
12 |
피바디 사절단에 관한 연구
|
김성숙
|
~
|
0
|
13 |
자극을 통한 학습자 중심의 다각적 표현을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구
|
박라미
|
~
|
0
|
14 |
중국도가의 무위자연사상과 조선시대 民藝美의 공통적 특징에 대한 비교연구
|
최병식
|
~
|
0
|
15 |
슈타이너 교육이념에 기초한 미술교육이론과 실제
|
김정희
|
~
|
6
|
16 |
글쓰기 활동이 미술표현활동에 미치는 영향
|
최현진
|
~
|
2
|
17 |
21세기 사회문화교육에서의전통색채의 의미해석과 지도방안 모색
|
박명원
|
~
|
1
|
18 |
통일교육을 위한 미술교과 교수.학습 방법 기초연구
|
이주연
|
~
|
2
|